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java network
- 동시성
- 도커
- 김영한
- 쿠버네티스
- java
- Thread
- 실전 자바 고급 1편
- 자바
- 자바 io 보조스트림
- 시작하세요 도커 & 쿠버네티스
- filewriter filereader
- 인프런
- Kubernetes
- Java IO
- 알고리즘
- java socket
- 리스트
- 멀티 쓰레드
- 컨테이너
- LIST
- 자료구조
- container
- 도커 엔진
- Collection
- 쓰레드
- Docker
- 자바 입출력 스트림
- 스레드
- 스레드 제어와 생명 주기
Archives
- Today
- Total
쌩로그
스프링 프로젝트 resources static과 templates 차이(feat. 템플릿 엔진) 본문
Spring Project/Spring & Spring Boot
스프링 프로젝트 resources static과 templates 차이(feat. 템플릿 엔진)
.쌩수. 2023. 12. 18. 11:36반응형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템플릿 엔진을 thymeleaf로 설정했다.

static
과 templates
폴더의 차이가 뭐지? 했지만, 굳이 찾아보진 않았다.
차이는 정적이냐 (쪼금은 ) 동적이냐의 차이다.
static은 소스가 변하지 않는 html, css, js 파일이 될 것이다.
templates는 서버사이드 렌더링을 통해서 소스가 동적으로 바뀌는 템플릿 엔진 파일들을 넣어두는 것.
각 파일에는 다음과 같이 index.html과 hello.html이 있는데

index.html은 로컬 기준 8080포트로 들어가면 나오는 home 페이지의 경우이고,
hello.html은 타임리프 탬플릿 엔진 파일이다. 서버 실행에따라 소스가 바뀌기 때문에, templates
디렉터리에 넣어놨다.
static
과 templates
의 차이는
정적이냐 (쪼금은 ) 동적이냐의 차이다.
※ 쪼금은
이라는 수식어를 넣은 이유는 그리 버라이어티하게 바뀌진 않기 때문이다.
참고로 간단한 부분이라 바로 본론으로 들어갔다. ^^
728x90
'Spring Project > Spring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핵심원리 기본편 - Ch08. 빈 생명주기 콜백 (1) | 2023.12.19 |
---|---|
스프링 핵심원리 기본편 - Ch07. 의존관계 자동 주입 (4) | 2023.12.19 |
스프링 핵심원리 기본편 - Ch06. 컴포넌트 스캔 (0) | 2023.12.18 |
스프링 핵심원리 기본편 - Ch05. 싱글톤 컨테이너 (2) | 2023.12.17 |
스프링 핵심원리 기본편 - Ch04.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 (4) | 2023.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