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제네릭스
- 동시성
- container
- 인프런
- 멀티 쓰레드
- 쓰레드
- LIST
- 스레드
- 시작하세요! 도커 & 쿠버네티스
- 시작하세요 도커 & 쿠버네티스
- 오케스트레이션
- 도커 엔진
- 쿠버네티스
- Thread
- 김영한
- 리스트
- Kubernetes
- 실전 자바 고급 1편
- Docker
- Collection
- 알고리즘
- java
- 자료구조
- 자바
- 도커
- 스레드 제어와 생명 주기
- 중급자바
- 실전 자바 중급 2편
- 컨테이너
- contatiner
- Today
- Total
쌩로그
스프링 DB2편 - Ch09. 스프링 트랜잭션 이해 본문
목록
- 포스팅 개요
- 본론
2-1. 스프링 트랜잭션 소개
2-2. 트랜잭션 적용 확인
2-3. 트랜잭션 적용 위치
2-4. 트랜잭션 AOP 주의 사항 - 프록시 내부 호출1
2-5. 트랜잭션 AOP 주의 사항 - 프록시 내부 호출2
2-6. 트랜잭션 AOP 주의 사항 - 초기화 시점
2-7. 트랜잭션 옵션 소개
2-8. 예외와 트랜잭션 커밋, 롤백 - 기본
2-9. 예외와 트랜잭션 커밋, 롤백 - 활용 - 요약
1. 포스팅 개요
인프런에서 영한님의 스프링 DB 1편 Section 09. 스프링 트랜잭션 이해를 학습하며 정리한 포스팅이다.
참고로 프로젝트 생성 부분은 생략한다.
환경은 다음과 같다.
2. 본론
2-1. 스프링 트랜잭션 소개
우리는 앞서 DB1편 스프링과 문제 해결 - 트랜잭션을 통해 스프링이 제공하는 트랜잭션 기능이 왜 필요하고, 어떻게 동작하는지 내부 원리를 알아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스프링 트랜잭션을 더 깊이있게 학습하고, 또 스프링 트랜잭션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자세히 알아본다.
먼저 본격적인 기능 설명에 앞서 지금까지 학습한 스프링 트랜잭션을 간략히 복습하면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스프링 트랜잭션 추상화
각각의 데이터 접근 기술들은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JDBC 기술과 JPA 기술은 트랜잭션을 사용하는 코드 자체가 다르다.
JDBC 트랜잭션 코드 예시다.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Connection con = dataSource.getConnection();
try {
con.setAutoCommit(false); //트랜잭션 시작 /
/비즈니스 로직
bizLogic(con, fromId, toId, money);
con.commit(); //성공시 커밋
} catch (Exception e) {
con.rollback(); //실패시 롤백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
} finally {
release(con);
}
}
JPA 트랜잭션 코드 예시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 생성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jpabook");
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 //엔티티 매니저 생성
EntityTransaction tx = em.getTransaction(); //트랜잭션 기능 획득
try {
tx.begin(); //트랜잭션 시작
logic(em); //비즈니스 로직
tx.commit();//트랜잭션 커밋
} catch (Exception e) {
tx.rollback(); //트랜잭션 롤백
} finally {
em.close(); //엔티티 매니저 종료
} emf.close();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 종료
}
따라서 JDBC 기술을 사용하다가 JPA 기술로 변경하게 되면 트랜잭션을 사용하는 코드도 모두 함께 변경해야 한다.
스프링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트랜잭션 추상화를 제공한다.
트랜잭션을 사용하는 입장에서는 스프링 트랜잭션 추상화를 통해 둘을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스프링은 PlatformTransactionManager
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트랜잭션을 추상화한다.
PlatformTransactionManager 인터페이스
package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lang.Nullable;
public interface PlatformTransactionManager extends TransactionManager {
TransactionStatus getTransaction(@Nullable TransactionDefinition definition) throws TransactionException;
void commit(TransactionStatus status) throws TransactionException;
void rollback(TransactionStatus status) throws TransactionException;
}
- 트랜잭션은 트랜잭션 시작(획득), 커밋, 롤백으로 단순하게 추상화 할 수 있다.

- 스프링은 트랜잭션을 추상화해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실무에서 주로 사용하는 데이터 접근 기술에 대한 트랜잭션 매니저의 구현체도 제공한다. 우리는 필요한 구현체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고 주입 받아서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
- 여기에 더해서 스프링 부트는 어떤 데이터 접근 기술을 사용하는지를 자동으로 인식해서 적절한 트랜잭션 매니저를 선택해서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주기 때문에 트랜잭션 매니저를 선택하고 등록하는 과정도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JdbcTemplate
,MyBatis
를 사용하면DataSourceTransactionManager(JdbcTransactionManager)
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고, JPA를 사용하면JpaTransactionManager
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준다.
참고
- 스프링 5.3부터는 JDBC 트랜잭션을 관리할 때
DataSourceTransactionManager
를 상속받아서 약간의 기능을 확장한JdbcTransactionManager
를 제공한다. - 둘의 기능 차이는 크지 않으므로 같은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스프링 트랜잭션 사용 방식
PlatformTransactionManager
를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다.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 vs 프로그래밍 방식 트랜잭션 관리
-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Declarative Transaction Management)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 하나만 선언해서 매우 편리하게 트랜잭션을 적용하는 것을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라 한다.-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는 과거 XML에 설정하기도 했다.
- 이름 그대로 "해당 로직에 트랜잭션을 적용하겠다" 라고 어딘가에 선언하기만 하면 트랜잭션이 적용되는 방식이다.
- 프로그래밍 방식의 트랜잭션 관리(programmatic transaction management)
- 트랜잭션 매니저 또는 트랜잭션 템플릿 등을 사용해서 트랜잭션 관련 코드를 직접 작성하는 것을 프로그래밍 방식의 트랜잭션 관리라 한다.
- 프로그래밍 방식의 트랜잭션 관리를 사용하게 되면, 애플리케이션 코드가 트랜잭션이라는 기술 코드와 강하게 결합된다.
-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가 프로그래밍 방식에 비해서 훨씬 간편하고 실용적이기 때문에 실무에서는 대부분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를 사용한다.
선언적 트랜잭션과 AOP
@Transactional
을 통한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프록시 방식의 AOP가 적용된다.
프록시 도입 전

트랜잭션을 처리하기 위한 프록시를 도입하기 전에는 서비스의 로직에서 트랜잭션을 직접 시작했다.
서비스 계층의 트랜잭션 사용 코드 예시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status =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Definition());
try {
//비즈니스 로직
bizLogic(fromId, toId, money);
transactionManager.commit(status); //성공시 커밋
} catch (Exception e) {
transactionManager.rollback(status); //실패시 롤백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
}
프록시 도입 후

트랜잭션을 처리하기 위한 프록시를 적용하면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객체와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서비스 객체를 명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트랜잭션 프록시 코드 예시
public class TransactionProxy {
private MemberService target;
public void logic() {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status =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
try {
//실제 대상 호출
target.logic();
transactionManager.commit(status); //성공시 커밋
} catch (Exception e) {
transactionManager.rollback(status); //실패시 롤백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
}
}
}
트랜잭션 프록시 적용 후 서비스 코드 예시
public class Service {
public void logic() {
//트랜잭션 관련 코드 제거, 순수 비즈니스 로직만 남음
bizLogic(fromId, toId, money);
}
}
- 프록시 도입 전
- 서비스에 비즈니스 로직과 트랜잭션 처리 로직이 함께 섞여있다.
- 프록시 도입 후
- 트랜잭션 프록시가 트랜잭션 처리 로직을 모두 가져간다.
- 그리고 트랜잭션을 시작한 후에 실제 서비스를 대신 호출한다.
- 트랜잭션 프록시 덕분에 서비스 계층에는 순수한 비즈니즈 로직만 남길 수 있다.
프록시 도입 후 전체 과정

- 트랜잭션은 커넥션에
con.setAutocommit(false)
를 지정하면서 시작한다. - 같은 트랜잭션을 유지하려면 같은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사용해야 한다.
- 이것을 위해 스프링 내부에서는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가 사용된다.
JdbcTemplate
을 포함한 대부분의 데이터 접근 기술들은 트랜잭션을 유지하기 위해 내부에서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를 통해 리소스(커넥션)를 동기화 한다.
스프링이 제공하는 트랜잭션 AOP
- 스프링의 트랜잭션은 매우 중요한 기능이고, 전세계 누구나 다 사용하는 기능이다.
- 스프링은 트랜잭션 AOP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능을 제공한다.
-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면 트랜잭션 AOP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스프링 빈들도 자동으로 등록해준다.
- 개발자는 트랜잭션 처리가 필요한 곳에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만 붙여주면 된다. 스프링의 트랜잭션 AOP는 이 애노테이션을 인식해서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프록시를 적용해준다.
@Transactional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프로젝트 생성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의존 관계는 다음과 같다.
- Spring Data JPA,
- H2 Database,
- Lombok
테스트에서 롬복을 사용하므로, build.gradle
에 추가해준다.
//테스트에서 lombok 사용
test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이 설정을 추가해야 테스트 코드에서 @Slfj4
같은 롬복 애노테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 동작 확인
- 기본 메인 클래스 실행(
SpringtxApplication.main()
) - 콘솔에
Started SpringtxApplication
로그가 보이면 성공이다.
- 기본 메인 클래스 실행(
2-2. 트랜잭션 적용 확인
트랜잭션 적용 확인
@Transactional
을 통해 선언적 트랜잭션 방식을 사용하면 단순히 애노테이션 하나로 트랜잭션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기능은 트랜잭션 관련 코드가 눈에 보이지 않고, AOP를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실제 트랜잭션이 적용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스프링 트랜잭션이 실제 적용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테스트 경로의 springtx.apply
패키지에서 TxApplyBasicTest
클래스를 다음과 같이 작성하자.
package hello.springtx.apply;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aop.support.AopUtils;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Test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
@Slf4j
@SpringBootTest
public class TxBasicTest {
@Autowired
BasicService basicService;
@Test
void proxyCheck() {
log.info("aop class={}", basicService.getClass());
assertThat(AopUtils.isAopProxy(basicService)).isTrue();
}
@Test
void txTest() {
basicService.tx();
basicService.nonTx();
}
@TestConfiguration
static class TxApplyBasicConfig {
@Bean
BasicService basicService() {
return new BasicService();
}
}
@Slf4j
static class BasicService {
@Transactional
public void tx() {
log.info("call tx");
boolean txActive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log.info("tx active={}", txActive);
}
public void nonTx() {
log.info("call nonTx");
boolean txActive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log.info("tx active={}", txActive);
}
}
}
proxyCheck() - 실행
AopUtils.isAopProxy()
- 선언적 트랜잭션 방식에서 스프링 트랜잭션은 AOP를 기반으로 동작한다.
@Transactional
을 메서드나 클래스에 붙이면 해당 객체는 트랜잭션 AOP 적용의 대상이 되고, 결과적으로 실제 객체 대신에 트랜잭션을 처리해주는 프록시 객체가 스프링 빈에 등록된다.- 그리고 주입을 받을 때도 실제 객체 대신에 프록시 객체가 주입된다.
- 클래스 이름을 출력해보면
basicService$$EnhancerBySpringCGLIB...
라고 프록시 클래스의 이름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roxyCheck() - 실행 결과
2024-09-10T23:47:51.556+09:00 INFO 20268 --- [springtx] [ Test worker] hello.springtx.apply.TxBasicTest : aop class=class hello.springtx.apply.TxBasicTest$BasicService$$SpringCGLIB$$0
스프링 컨테이너에 트랜잭션 프록시 등록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이 특정 클래스나 메서드에 하나라도 있으면 트랜잭션 AOP는 프록시를 만들어서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한다. 그리고 실제basicService
객체 대신에 프록시인basicService$ $CGLIB
를 스프링 빈에 등록한다. 그리고 프록시는 내부에 실제basicService
를 참조하게 된다. 여기서 핵심은 실제 객체 대신에 프록시가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되었다는 점이다.- 클라이언트인
txBasicTest
는 스프링 컨테이너에@Autowired
BasicService
basicService
로 의존관계 주입을 요청한다.- 스프링 컨테이너에는 실제 객체 대신에 프록시가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프록시를 주입한다.
- 프록시는
BasicService
를 상속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다형성을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BasicService
대신에 프록시인BasicService$$CGLIB
를 주입할 수 있다.
- 따라서
참고
프록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에서 다룬다.
트랜잭션 프록시 동작 방식

- 클라이언트가 주입 받은
basicService$$CGLIB
는 트랜잭션을 적용하는 프록시이다.
txTest() 실행
실행하기 전에 먼저 다음 로그를 추가하자
로그 추가
application.properties
이다.
logging.level.org.springframework.transaction.interceptor=TRACE
로그를 추가하면 트랜잭션 프록시가 호출하는 트랜잭션의 시작과 종료를 명확하게 로그로 확인할 수 있다.
basicService.tx() 호출
- 클라이언트가
basicService.tx()
를 호출하면, 프록시의tx()
가 호출된다. 여기서 프록시는tx()
메서드가 트랜잭션을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해본다.tx()
메서드에는@Transactional
이 붙어있으므로 트랜잭션 적용 대상이다. - 따라서 트랜잭션을 시작한 다음에 실제
basicService.tx()
를 호출한다. - 그리고 실제
basicService.tx()
의 호출이 끝나서 프록시로 제어가(리턴) 돌아오면 프록시는 트랜잭션 로직 을 커밋하거나 롤백해서 트랜잭션을 종료한다.
basicService.nonTx() 호출
- 클라이언트가
basicService.nonTx()
를 호출하면, 트랜잭션 프록시의nonTx()
가 호출된다. 여기서nonTx()
메서드가 트랜잭션을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해본다.nonTx()
에는@Transactional
이 없으므로 트랜잭션 적용 대상이 아니다. - 따라서 트랜잭션을 시작하지 않고,
basicService.nonTx()
를 호출하고 종료한다.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 현재 쓰레드에 트랜잭션이 적용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다.
- 결과가
true
라면 트랜잭션이 적용되어 있는 것이다. - 트랜잭션의 적용 여부를 가장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4-09-10T23:52:08.663+09:00 TRACE 4628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apply.TxBasicTest$BasicService.tx]
2024-09-10T23:52:08.664+09:00 INFO 4628 --- [ Test worker] h.s.apply.TxBasicTest$BasicService : call tx
2024-09-10T23:52:08.664+09:00 INFO 4628 --- [ Test worker] h.s.apply.TxBasicTest$BasicService : tx active=true
2024-09-10T23:52:08.664+09:00 TRACE 4628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apply.TxBasicTest$BasicService.tx]
2024-09-10T23:52:08.667+09:00 INFO 4628 --- [ Test worker] h.s.apply.TxBasicTest$BasicService : call nonTx
2024-09-10T23:52:08.668+09:00 INFO 4628 --- [ Test worker] h.s.apply.TxBasicTest$BasicService : tx active=false
- 로그를 통해
tx()
호출시에는tx active=true
를 통해 트랜잭션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ransactionInterceptor
로그를 통해 트랜잭션 프록시가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완료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nonTx()
호출시에는tx active=false
를 통해 트랜잭션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3. 트랜잭션 적용 위치
이번시간에는 코드를 통해 @Transactional
의 적용 위치에 따른 우선순위를 확인해보자.
스프링에서 우선순위는 항상 더 구체적이고 자세한 것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이것만 기억하면 스프링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우선순위를 쉽게 기억할 수 있다.
그리고 더 구체적인 것이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은 상식적으로 자연스럽다.
예를 들어서 메서드와 클래스에 애노테이션을 붙일 수 있다면 더 구체적인 메서드가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인터페이스와 해당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에 애노테이션을 붙일 수 있다면 더 구체적인 클래스가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테스트 경로의 springtx.apply
패키지에서 TxLevelTest
클래스를 다음과 같이 작성하자.
package hello.springtx.apply;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Test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SpringBootTest
public class TxLevelTest {
@Autowired
LevelService service;
@Test
void orderTest() {
service.write();
service.read();
}
@TestConfiguration
static class TxLevelTestConfig {
@Bean
LevelService levelService() {
return new LevelService();
}
}
@Slf4j
@Transactional(readOnly = true)
static class LevelService {
@Transactional(readOnly = false)
public void write() {
log.info("call write");
printTxInfo();
}
public void read() {
log.info("call read");
printTxInfo();
}
private void printTxInfo() {
boolean txActive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log.info("tx active = {}", txActive);
boolean readOnly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CurrentTransactionReadOnly();
log.info("tx readOnly = {}", readOnly);
}
}
}
스프링의 @Transactional
은 다음 두 가지 규칙이 있다.
- 우선순위 규칙
- 클래스에 적용하면 메서드는 자동 적용
우선순위
트랜잭션을 사용할 때는 다양한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어떤 경우에는 옵션을 주고, 어떤 경우에는 옵션을 주지 않으면 어떤 것이 선택될까?
예를 들어서 읽기 전용 트랜잭션 옵션을 사용하는 경우와 아닌 경우를 비교해보자. (읽기 전용 옵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뒤에서 다룬다. 여기서는 적용 순서에 집중하자.)
LevelService
의 타입에@Transactional(readOnly = true)
이 붙어있다.write()
: 해당 메서드에@Transactional(readOnly = false)
이 붙어있다.- 이렇게 되면 타입에 있는
@Transactional(readOnly = true)
와 해당 메서드에 있는@Transactional(readOnly = false)
둘 중 하나를 적용해야 한다. - 클래스 보다는 메서드가 더 구체적이므로 메서드에 있는
@Transactional(readOnly = false)
옵션을 사용한 트랜잭션이 적용된다.
- 이렇게 되면 타입에 있는
클래스에 적용하면 메서드는 자동 적용
read()
: 해당 메서드에@Transactional
이 없다. 이 경우 더 상위인 클래스를 확인한다.- 클래스에
@Transactional(readOnly = true)
이 적용되어 있다. 따라서 트랜잭션이 적용되고readOnly = true
옵션을 사용하게 된다.
- 클래스에
참고로 readOnly=false
는 기본 옵션이기 때문에 보통 생략한다.
여기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기본 옵션을 적어주었다.
@Transactional == @Transactional(readOnly=false)
와 같다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CurrentTransactionReadOnly
현재 트랜잭션에 적용된 readOnly
옵션의 값을 반환한다.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4-09-11T05:38:47.494+09:00 TRACE 4064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apply.TxLevelTest$LevelService.write]
2024-09-11T05:38:47.495+09:00 INFO 4064 --- [ Test worker] h.s.apply.TxLevelTest$LevelService : call write
2024-09-11T05:38:47.495+09:00 INFO 4064 --- [ Test worker] h.s.apply.TxLevelTest$LevelService : tx active = true
2024-09-11T05:38:47.495+09:00 INFO 4064 --- [ Test worker] h.s.apply.TxLevelTest$LevelService : tx readOnly = false
2024-09-11T05:38:47.495+09:00 TRACE 4064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apply.TxLevelTest$LevelService.write]
2024-09-11T05:38:47.499+09:00 TRACE 4064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apply.TxLevelTest$LevelService.read]
2024-09-11T05:38:47.499+09:00 INFO 4064 --- [ Test worker] h.s.apply.TxLevelTest$LevelService : call read
2024-09-11T05:38:47.499+09:00 INFO 4064 --- [ Test worker] h.s.apply.TxLevelTest$LevelService : tx active = true
2024-09-11T05:38:47.499+09:00 INFO 4064 --- [ Test worker] h.s.apply.TxLevelTest$LevelService : tx readOnly = true
2024-09-11T05:38:47.500+09:00 TRACE 4064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apply.TxLevelTest$LevelService.read]
다음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write()
에서는tx readOnly=false
: 읽기 쓰기 트랜잭션이 적용되었다.readOnly
가 아니다.read()
에서는tx readOnly=true
: 읽기 전용 트랜잭션 옵션인readOnly
가 적용되었다.
인터페이스에 @Transactional 적용
인터페이스에도 @Transactional
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음 순서로 적용된다.
구체적인 것이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고 생각하면 바로 이해가 될 것이다.
- 클래스의 메서드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
- 클래스의 타입
- 인터페이스의 메서드
- 인터페이스의 타입 (우선순위가 가장 낮다.)
클래스의 메서드를 찾고, 만약 없으면 클래스의 타입을 찾고 만약 없으면 인터페이스의 메서드를 찾고 그래도 없으면 인터페이스의 타입을 찾는다.
그런데 인터페이스에 @Transactional
사용하는 것은 스프링 공식 메뉴얼에서 권장하지 않는 방법이다.
AOP를 적용하는 방식에 따라서 인터페이스에 애노테이션을 두면 AOP가 적용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가급적 구체 클래스에 @Transactional
을 사용하자.
참고
스프링은 인터페이스에 @Transactional
을 사용하는 방식을 스프링 5.0에서 많은 부분 개선했다.
과거에는 구체 클래스를 기반으로 프록시를 생성하는 CGLIB 방식을 사용하면 인터페이스에 있는 @Transactional
을 인식하지 못했다.
스프링 5.0 부터는 이 부분을 개선해서 인터페이스에 있는 @Transactional
도 인식한다.
하지만 다른 AOP 방식에서 또 적용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공식 메뉴얼의 가이드대로 가급적 구체 클래스에 @Transactional
을 사용하자.
CGLIB 방식은 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에서 다룬다.
2-4. 트랜잭션 AOP 주의 사항 - 프록시 내부 호출1
참고
여기서 설명하는 내용은 스프링 핵심원리 고급편 13. 실무 주의사항 - 프록시와 내부 호출 문제에서 다루는 내용 과 같은 문제를 다룬다.
이렇게 한번 더 언급하는 이유는 그 만큼 실무에서 많이 만나는 주제이고, 많은 개발자들이 이 문제를 이해하지 못해서 고통받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트랜잭션 AOP에 관점에서 설명한다.
@Transactional
을 사용하면 스프링의 트랜잭션 AOP가 적용된다.
트랜잭션 AOP는 기본적으로 프록시 방식의 AOP를 사용한다.
앞서 배운 것 처럼 @Transactional
을 적용하면 프록시 객체가 요청을 먼저 받아서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실제 객체를 호출해준다.
따라서 트랜잭션을 적용하려면 항상 프록시를 통해서 대상 객체(Target)을 호출해야 한다.
이렇게 해야 프록시에서 먼저 트랜잭션을 적용하고, 이후에 대상 객체를 호출하게 된다.
만약 프록시를 거치지 않고 대상 객체를 직접 호출하게 되면 AOP가 적용되지 않고, 트랜잭션도 적용되지 않는다.

AOP를 적용하면 스프링은 대상 객체 대신에 프록시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
따라서 스프링은 의존관계 주입시에 항상 실제 객체 대신에 프록시 객체를 주입한다.
프록시 객체가 주입되기 때문에 대상 객체를 직접 호출하는 문제는 일반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대상 객체의 내부에서 메서드 호출이 발생하면 프록시를 거치지 않고 대상 객체를 직접 호출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Transactional
이 있어도 트랜잭션이 적용되지 않는다.
실무에서 반드시 한번은 만나서 고생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꼭 이해하고 넘어가자.
예제를 통해서 내부 호출이 발생할 때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알아보자.
먼저 내부 호출이 발생하는 예제를 만들어보자.
테스트 경로의 springtx.apply
패키지에서 InternalCallV1Test
클래스를 다음처럼 작성하자.
package hello.springtx.apply;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Test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Slf4j
@SpringBootTest
public class InternalCallV1Test {
@Autowired
CallService callService;
@Test
void printProxy() {
log.info("callService class={}", callService.getClass());
}
@Test
void internalCall() {
callService.internal();
}
@TestConfiguration
static class InternalCallV1TestConfig {
@Bean
CallService callService() {
return new CallService();
}
}
@Slf4j
static class CallService {
public void external() {
log.info("call external");
printTxInfo();
internal();
}
@Transactional
public void internal() {
log.info("call internal");
printTxInfo();
}
private void printTxInfo() {
boolean txActive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log.info("tx active = {}", txActive);
boolean readOnly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CurrentTransactionReadOnly();
log.info("tx readOnly = {}", readOnly);
}
}
}
CallService
external()
은 트랜잭션이 없다.internal()
은@Transactional
을 통해 트랜잭션을 적용한다.
@Transactional
이 하나라도 있으면 트랜잭션 프록시 객체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callService
빈을 주입 받으면 트랜잭션 프록시 객체가 대신 주입된다.
다음 코드를 실행해보자.
void printProxy() {
log.info("callService class={}", callService.getClass());
}
여기서는 테스트에서 callService
를 주입 받는데, 해당 클래스를 출력해보면 뒤에 CGLIB...
이 붙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원본 객체 대신에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프록시 객체를 주입 받은 것이다.
2024-09-22T18:02:29.077+09:00 INFO 19460 --- [ Test worker] h.springtx.apply.InternalCallV1Test : callService class=class hello.springtx.apply.InternalCallV1Test$CallService$$SpringCGLIB$$0
internalCall() 실행
internalCall()
은 트랜잭션이 있는 코드인 internal()
을 호출한다.
internal()
@Test
void internalCall() {
callService.internal();
}

- 클라이언트인 테스트 코드는
callService.internal()
을 호출한다. 여기서callService
는 트랜잭션 프록시이다.
- 클라이언트인 테스트 코드는
callService
의 트랜잭션 프록시가 호출된다.
internal()
메서드에@Transactional
이 붙어 있으므로 트랜잭션 프록시는 트랜잭션을 적용한다.
- 트랜잭션 적용 후 실제
callService
객체 인스턴스의internal()
을 호출한다.- 실제
callService
가 처리를 완료하면 응답이 트랜잭션 프록시로 돌아오고, 트랜잭션 프록시는 트랜잭션을 완료한다.
- 실제
- 트랜잭션 적용 후 실제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로그이다.
2024-09-22T18:02:52.965+09:00 TRACE 19496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apply.InternalCallV1Test$CallService.internal]
2024-09-22T18:02:52.965+09:00 INFO 19496 --- [ Test worker] h.s.a.InternalCallV1Test$CallService : call internal
2024-09-22T18:02:52.966+09:00 INFO 19496 --- [ Test worker] h.s.a.InternalCallV1Test$CallService : tx active = true
2024-09-22T18:02:52.966+09:00 TRACE 19496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apply.InternalCallV1Test$CallService.internal]
TransactionInterceptor
가 남긴 로그를 통해 트랜잭션 프록시가 트랜잭션을 적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CallService
가 남긴tx active=true
로그를 통해 트랜잭션이 적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내용은 앞서 학습한 내용이어서 이해하기 어렵지 않을 것이다.
이제 본격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분을 확인해 보자.
externalCall() 실행
externalCall()
은 트랜잭션이 없는 코드인 external()
을 호출한다.
external()
@Test
void externalCall() {
callService.external();
}
external()
은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이 없다.
따라서 트랜잭션 없이 시작한다.
그런데 내부에서 @Transactional
이 있는 internal()
을 호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external()
은 트랜잭션이 없지만, internal()
에서는 트랜잭션이 적용되는 것 처럼 보인다.
한번 실행해보자.
실행 결과 로그는 다음과 같다.
2024-09-22T18:05:00.860+09:00 INFO 21540 --- [ Test worker] h.s.a.InternalCallV1Test$CallService : call external
2024-09-22T18:05:00.861+09:00 INFO 21540 --- [ Test worker] h.s.a.InternalCallV1Test$CallService : tx active = false
2024-09-22T18:05:00.861+09:00 INFO 21540 --- [ Test worker] h.s.a.InternalCallV1Test$CallService : call internal
2024-09-22T18:05:00.861+09:00 INFO 21540 --- [ Test worker] h.s.a.InternalCallV1Test$CallService : tx active = false
실행 로그를 보면 트랜잭션 관련 코드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프록시가 아닌 실제 callService
에서 남긴 로그만 확인된다.
추가로 internal()
내부에서 호출한 tx active=false
로그를 통해 확실히 트랜잭션이 수행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의 기대와 다르게 internal()
에서 트랜잭션이 전혀 적용되지 않았다.
왜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일까?
프록시와 내부 호출

실제 호출되는 흐름을 천천히 분석해보자.
- 클라이언트인 테스트 코드는
callService.external()
을 호출한다. 여기서callService
는 트랜잭션 프록시이다.
- 클라이언트인 테스트 코드는
callService
의 트랜잭션 프록시가 호출된다.
external()
메서드에는@Transactional
이 없다. 따라서 트랜잭션 프록시는 트랜잭션을 적용하지 않는다.
- 트랜잭션을 적용하지 않고, 실제
callService
객체 인스턴스의external()
을 호출한다.
- 트랜잭션을 적용하지 않고, 실제
external()
은 내부에서internal()
메서드를 호출한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문제 원인
자바 언어에서 메서드 앞에 별도의 참조가 없으면 this
라는 뜻으로 자기 자신의 인스턴스를 가리킨다.
결과적으로 자기 자신의 내부 메서드를 호출하는 this.internal()
이 되는데, 여기서 this
는 자기 자신을 가리키므로, 실제 대상 객체( target
)의 인스턴스를 뜻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내부 호출은 프록시를 거치지 않는다.
따라서 트랜잭션을 적용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target
에 있는 internal()
을 직접 호출하게 된 것이다.
프록시 방식의 AOP 한계
@Transactional
를 사용하는 트랜잭션 AOP는 프록시를 사용한다.
프록시를 사용하면 메서드 내부 호출에 프록시 를 적용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가장 단순한 방법은 내부 호출을 피하기 위해 internal()
메서드를 별도의 클래스로 분리하는 것이다.
2-5. 트랜잭션 AOP 주의 사항 - 프록시 내부 호출2
메서드 내부 호출 때문에 트랜잭션 프록시가 적용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nternal()
메서드를 별도의 클래스로 분리하자.
테스트 경로의 springtx.apply
패키지에서 InternalCallV2Test
클래스를 다음처럼 작성하자.
package hello.springtx.apply;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Test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Slf4j
@SpringBootTest
public class InternalCallV2Test {
@Autowired
CallService callService;
@Test
void printProxy() {
log.info("callService class={}", callService.getClass());
}
@Test
void externalCallV2() {
callService.external();
}
@TestConfiguration
static class InternalCallV1TestConfig {
@Bean
CallService callService() {
return new CallService(internalService());
}
@Bean
InternalService internalService() {
return new InternalService();
}
}
@Slf4j
@RequiredArgsConstructor static class CallService {
private final InternalService internalService;
public void external() {
log.info("call external");
printTxInfo();
internalService.internal();
}
private void printTxInfo() {
boolean txActive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log.info("tx active = {}", txActive);
}
}
static class InternalService {
@Transactional
public void internal() {
log.info("call internal");
printTxInfo();
}
private void printTxInfo() {
boolean txActive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log.info("tx active = {}", txActive);
}
}
}
InternalService
클래스를 만들고internal()
메서드를 여기로 옮겼다.- 이렇게 메서드 내부 호출을 외부 호출로 변경했다.
CallService
에는 트랜잭션 관련 코드가 전혀 없으므로 트랜잭션 프록시가 적용되지 않는다.InternalService
에는 트랜잭션 관련 코드가 있으므로 트랜잭션 프록시가 적용된다.

실제 호출되는 흐름을 분석해보자.
- 클라이언트인 테스트 코드는
callService.external()
을 호출한다.
- 클라이언트인 테스트 코드는
callService
는 실제callService
객체 인스턴스이다.
callService
는 주입 받은internalService.internal()
을 호출한다.
internalService
는 트랜잭션 프록시이다.internal()
메서드에@Transactional
이 붙어 있으므로 트랜잭션 프록시는 트랜잭션을 적용한다.
- 트랜잭션 적용 후 실제
internalService
객체 인스턴스의internal()
을 호출한다.
- 트랜잭션 적용 후 실제
실행 로그를 보자.
2024-09-22T18:17:14.244+09:00 INFO 20088 --- [ Test worker] h.s.a.InternalCallV2Test$CallService : call external
2024-09-22T18:17:14.244+09:00 INFO 20088 --- [ Test worker] h.s.a.InternalCallV2Test$CallService : tx active = false
2024-09-22T18:17:14.294+09:00 TRACE 20088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apply.InternalCallV2Test$InternalService.internal]
2024-09-22T18:17:14.294+09:00 INFO 20088 --- [ Test worker] h.springtx.apply.InternalCallV2Test : call internal
2024-09-22T18:17:14.294+09:00 INFO 20088 --- [ Test worker] h.springtx.apply.InternalCallV2Test : tx active = true
2024-09-22T18:17:14.295+09:00 TRACE 20088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apply.InternalCallV2Test$InternalService.internal]
TransactionInterceptor
를 통해 트랜잭션이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ternalService
의tx active=true
로그를 통해internal()
호출에서 트랜잭션이 적용된 것을 확 인할 수 있다.
여러가지 다른 해결방안도 있지만, 실무에서는 이렇게 별도의 클래스로 분리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참고
스프링 핵심원리 고급편 13. 실무 주의사항 - 프록시와 내부 호출 문제에서 더 다양한 해결 방안을 소개한다.
public 메서드만 트랜잭션 적용
스프링의 트랜잭션 AOP 기능은 public
메서드에만 트랜잭션을 적용하도록 기본 설정이 되어있다.
그래서 protected
, private
, package-visible
에는 트랜잭션이 적용되지 않는다.
생각해보면 protected
, package-visible
도 외부에서 호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부분은 앞서 설명한 프록시의 내부 호출과는 무관하고, 스프링이 막아둔 것이다.
스프링이 public
에만 트랜잭션을 적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Transactionsl
public class Hello {
public method1();
method2();
protected method3();
private method4();
}
- 이렇게 클래스 레벨에 트랜잭션을 적용하면 모든 메서드에 트랜잭션이 걸릴 수 있다.
- 그러면 트랜잭션을 의도하지 않는 곳 까지 트랜잭션이 과도하게 적용된다.
- 트랜잭션은 주로 비즈니스 로직의 시작점에 걸기 때문에 대부분 외부에 열어준 곳을 시작점으로 사용한다.
- 이런 이유로
public
메서드에만 트랜잭션을 적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 앞서 실행했던 코드를
package-visible
로 변경해보면 적용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아래 참고 사항을 확인)
참고로 public
이 아닌 곳에 @Transactional
이 붙어 있으면 예외가 발생하지는 않고, 트랜잭션 적용만 무시된다.(아래 참고 사항을 확인)
참고: 스프링 부트 3.0 이후 버전
스프링 부트 3.0 부터는 protected
, package-visible
(default 접근제한자)에도 트랜잭션이 적용된다.
2-6. 트랜잭션 AOP 주의 사항 - 초기화 시점
스프링 초기화 시점에는 트랜잭션 AOP가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예제 코드를 보자.
테스트 경로의 springtx.apply
패키지에서 InitTxTest
클래스를 다음과 같이 작성하자.
package hello.springtx.apply;
import jakarta.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Test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SpringBootTest
public class InitTxTest {
@Autowired
Hello hello;
@Test
void go() {
// 초기화 코드는 스프링이 초기화 시점에 호출된다.
hello.initV1(); // 이렇게 직접 호출하면 트랜잭션 적용된다. 주석 후 다시 실행하자.
}
@TestConfiguration
static class InitTxTestConfig {
@Bean
Hello hello() {
return new Hello();
}
}
@Slf4j
static class Hello {
@PostConstruct
@Transactional public void initV1() {
boolean isActive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log.info("Hello init @PostConstruct tx active = {}", isActive);
}
public void initV2() {
}
}
}
테스트를 실행해보자.
초기화 코드(예: @PostConstruct
)와 @Transactional
을 함께 사용하면 트랜잭션이 적용되지 않는다.
@PostConstruct
@Transactional
public void initV1() {
boolean isActive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log.info("Hello init @PostConstruct tx active = {}", isActive);
}
왜냐하면 초기화 코드@PostConstruct
가 먼저 호출되고, 그 다음에 트랜잭션 AOP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기화 시점에는 해당 메서드에서 트랜잭션을 획득할 수 없다.
initV1()
관련 로그다.
(hello.initV1();
을 주석 처리한 후에 실행한 로그다. )
...
...
2024-09-22T18:34:00.568+09:00 INFO 7636 --- [ Test worker] org.hibernate.Version : HHH000412: Hibernate ORM core version 6.5.2.Final
2024-09-22T18:34:00.619+09:00 INFO 7636 --- [ Test worker] o.h.c.internal.RegionFactoryInitiator : HHH000026: Second-level cache disabled
2024-09-22T18:34:01.027+09:00 INFO 7636 --- [ Test worker] o.s.o.j.p.SpringPersistenceUnitInfo : No LoadTimeWeaver setup: ignoring JPA class transformer
2024-09-22T18:34:01.499+09:00 INFO 7636 --- [ Test worker] o.h.e.t.j.p.i.JtaPlatformInitiator : HHH000489: No JTA platform available (set 'hibernate.transaction.jta.platform' to enable JTA platform integration)
2024-09-22T18:34:01.506+09:00 INFO 7636 --- [ Test worker]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Initialized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
// 여기
2024-09-22T18:34:01.516+09:00 INFO 7636 --- [ Test worker] hello.springtx.apply.InitTxTest$Hello : Hello init @PostConstruct tx active = false
2024-09-22T18:34:01.737+09:00 INFO 7636 --- [ Test worker] hello.springtx.apply.InitTxTest : Started InitTxTest in 3.037 seconds (process running for 4.684)
...
...
가장 확실한 대안은 ApplicationReadyEvent
이벤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EventListener(ApplicationReadyEvent.class)
@Transactional
public void initV2() {
boolean isActive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log.info("Hello init ApplicationReadyEvent tx active = {}", isActive);
}
이 이벤트는 트랜잭션 AOP를 포함한 스프링이 컨테이너가 완전히 생성되고 난 다음에 이벤트가 붙은 메서드를 호출해 준다.
따라서 init2()
는 트랜잭션이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it2() 의 ApplicationReadyEvent
이벤트가 호출하는 코드다.
`
2024-09-22T18:49:28.615+09:00 INFO 8164 --- [ Test worker]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Initialized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
// init1
2024-09-22T18:49:28.630+09:00 INFO 8164 --- [ Test worker] hello.springtx.apply.InitTxTest$Hello : Hello init @PostConstruct tx active = false
// 스프링 컨테이너 로딩 완료
2024-09-22T18:49:28.854+09:00 INFO 8164 --- [ Test worker] hello.springtx.apply.InitTxTest : Started InitTxTest in 3.064 seconds (process running for 4.697)
// init2
2024-09-22T18:49:28.916+09:00 TRACE 8164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apply.InitTxTest$Hello.initV2]
2024-09-22T18:49:28.916+09:00 INFO 8164 --- [ Test worker] hello.springtx.apply.InitTxTest$Hello : Hello init ApplicationReadyEvent tx active = true
2024-09-22T18:49:28.916+09:00 TRACE 8164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apply.InitTxTest$Hello.initV2]
2-7. 트랜잭션 옵션 소개
스프링 트랜잭션은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
이번 시간에는 각각의 옵션들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그리고 주요한 옵션 들은 이후 장에서 하나씩 자세히 설명하겠다.
@Transactional 코드이다.
설명 순서에 따라 약간 수정한 내용이다.
public @interface Transactional {
String value() default "";
String transactionManager() default "";
Class[] rollbackFor() default {};
Class[] noRollbackFor() default {};
Propagation propagation() default Propagation.REQUIRED;
Isolation isolation() default Isolation.DEFAULT;
int timeout() default TransactionDefinition.TIMEOUT_DEFAULT;
boolean readOnly() default false;
String[] label() default {};
}
value, transactionManager
트랜잭션을 사용하려면 먼저 스프링 빈에 등록된 어떤 트랜잭션 매니저를 사용할지 알아야 한다.
생각해보면 코드로 직접 트랜잭션을 사용할 때 분명 트랜잭션 매니저를 주입 받아서 사용했다.
@Transactional
에서도 트랜잭션 프록시 가 사용할 트랜잭션 매니저를 지정해주어야 한다.
사용할 트랜잭션 매니저를 지정할 때는 value
, transactionManager
둘 중 하나에 트랜잭션 매니저의 스프링 빈의 이름을 적어주면 된다.
이 값을 생략하면 기본으로 등록된 트랜잭션 매니저를 사용하기 때문에 대부분 생략한다.
그런데 사용하는 트랜잭션 매니저가 둘 이상이라면 다음과 같이 트랜잭션 매니저의 이름을 지정해서 구분하면 된다.
public class TxService {
@Transactional("memberTxManager")
public void member() {...}
@Transactional("orderTxManager")
public void order() {...}
}
참고로 애노테이션에서 속성이 하나인 경우 위 예처럼 value
는 생략하고 값을 바로 넣을 수 있다.
rollbackFor
예외 발생시 스프링 트랜잭션의 기본 정책은 다음과 같다.
- 언체크 예외인
RuntimeException
,Error
와 그 하위 예외가 발생하면 롤백한다. - 체크 예외인
Exception
과 그 하위 예외들은 커밋한다.
아래 옵션을 사용하면 기본 정책에 추가로 어떤 예외가 발생할 때 롤백할 지 지정할 수 있다.
@Transactional(rollbackFor = Exception.class)
예를 들어서 위와 같이 지정하면 체크 예외인 Exception
이 발생해도 롤백하게 된다.
(하위 예외들도 대상에 포함된다.)
rollbackForClassName
도 있는데, rollbackFor
는 예외 클래스를 직접 지정하고, rollbackForClassName
는 예외 이름을 문자로 넣으면 된다.
noRollbackFor
앞서 설명한 rollbackFor
와 반대이다.
기본 정책에 추가로 어떤 예외가 발생했을 때 롤백하면 안되는지 지정할 수 있다.
예외 이름을 문자로 넣을 수 있는 noRollbackForClassName
도 있다.
롤백 관련 옵션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propagation
트랜잭션 전파에 대한 옵션이다. 자세한 내용은 뒤에서 설명한다.
isolation
트랜잭션 격리 수준을 지정할 수 있다.
기본 값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설정한 트랜잭션 격리 수준을 사용하는 DEFAULT
이다.
대부분 데이터베이스에서 설정한 기준을 따른다.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트랜잭션 격리 수준을 직접 지정하는 경우는 드물다.
DEFAULT
: 데이터베이스에서 설정한 격리 수준을 따른다.READ_UNCOMMITTED
: 커밋되지 않은 읽기READ_COMMITTED
: 커밋된 읽기REPEATABLE_READ
: 반복 가능한 읽기SERIALIZABLE
: 직렬화 가능
참고
강의에서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READ COMMITTED(커밋된 읽기)
트랜잭션 격리 수준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트랜잭션 격리 수준은 데이터베이스에 자체에 관한 부분이어서 이 강의 내용을 넘어선다.
(트랜잭션 격리 수준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데이터베이스 메뉴얼이나, JPA 책 16.1 트랜잭션과 락을 참고하자.)
timeout
트랜잭션 수행 시간에 대한 타임아웃을 초 단위로 지정한다.
기본 값은 트랜잭션 시스템의 타임아웃을 사용한다.
운영 환경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꼭 확인하고 사용해야 한다.timeoutString
도 있는데, 숫자 대신 문자 값으로 지정할 수 있다.
label
트랜잭션 애노테이션에 있는 값을 직접 읽어서 어떤 동작을 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readOnly
트랜잭션은 기본적으로 읽기 쓰기가 모두 가능한 트랜잭션이 생성된다.readOnly=true
옵션을 사용하면 읽기 전용 트랜잭션이 생성된다.
이 경우 등록, 수정, 삭제가 안되고 읽기 기능만 작동한다.
(드라이버나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readOnly
옵션을 사용하면 읽기에서 다양한 성능 최적화가 발생할 수 있다.
readOnly
옵션은 크게 3곳에서 적용된다.
- 프레임워크
JdbcTemplate
은 읽기 전용 트랜잭션 안에서 변경 기능을 실행하면 예외를 던진다.- JPA(하이버네이트)는 읽기 전용 트랜잭션의 경우 커밋 시점에 플러시를 호출하지 않는다.
- 읽기 전용이니 변경에 사용되는 플러시를 호출할 필요가 없다.
- 추가로 변경이 필요 없으니 변경 감지를 위한 스냅샷 객체도 생성하지 않는다.
- 이렇게 JPA에서는 다양한 최적화가 발생한다.
- JPA 관련 내용은 JPA를 더 학습해야 이해할 수 있으므로 지금은 이런 것이 있다 정도만 알아두자.
- JDBC 드라이버
- 참고로 여기서 설명하는 내용들은 DB와 드라이버 버전에 따라서 다르게 동작하기 때문에 사전에 확인이 필요하다.
- 읽기 전용 트랜잭션에서 변경 쿼리가 발생하면 예외를 던진다.
- 읽기, 쓰기(마스터, 슬레이브) 데이터베이스를 구분해서 요청한다.
- 읽기 전용 트랜잭션의 경우 읽기(
슬레이브
) 데이터베이스의 커넥션을 획득해서 사용한다.
- 읽기 전용 트랜잭션의 경우 읽기(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읽기 전용 트랜잭션의 경우 읽기만 하면 되므로, 내부에서 성능 최적화가 발생한다.
참고
- 읽기만 할 때는
read-only
를 사용하면 일반적으론 성능최적화가 일어난다. - 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 DB마다 다르고, 로직에 따라 다르다.
2-8. 예외와 트랜잭션 커밋, 롤백 - 기본
예외가 발생했는데, 내부에서 예외를 처리하지 못하고, 트랜잭션 범위( @Transactional
가 적용된 AOP ) 밖으로 예외를 던지면 어떻게 될까?

예외 발생시 스프링 트랜잭션 AOP는 예외의 종류에 따라 트랜잭션을 커밋하거나 롤백한다.
- 언체크 예외인
RuntimeException
,Error
와 그 하위 예외가 발생하면 트랜잭션을 롤백한다. - 체크 예외인
Exception
과 그 하위 예외가 발생하면 트랜잭션을 커밋한다. - 물론 정상 응답(리턴)하면 트랜잭션을 커밋한다.
실제 이렇게 동작하는지 코드로 확인해보자.
테스트 경로의 springtx.exception
패키지에서 RollbackTest
클래스를 다음과 같이 작성하자.
package hello.springtx.apply;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Test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SpringBootTest
public class RollbackTest {
@Autowired
RollbackService service;
@Test
void runtimeException() {
service.runtimeException();
}
@TestConfiguration
static class RollbackTestConfig {
@Bean
RollbackService rollbackService() {
return new RollbackService();
}
}
@Slf4j
static class RollbackService {
// 런타임 예외 발생: 롤백
@Transactional
public void runtimeException() {
log.info("call runtimeException");
throw new RuntimeException();
}
// 체크 예외 발생: 커밋
@Transactional
public void checkedException() throws MyException {
log.info("call checkedException");
throw new MyException();
}
// 체크 예외 rollbackFor 지정: 롤백
@Transactional(rollbackFor = MyException.class)
public void rollbackFor() throws MyException {
log.info("call rollbackFor");
throw new MyException();
}
}
static class MyException extends Exception{
}
}
실행하기 전에 다음을 추가하자.
이렇게 하면 트랜잭션이 커밋되었는지 롤백 되었는지 로그로 확인할 수 있다.
application.properties
이다.
logging.level.org.springframework.transaction.interceptor=TRACE
logging.level.org.springframework.jdbc.datasource.DataSourceTransactionManager=DEBUG
#JPA log
logging.level.org.springframework.orm.jpa.JpaTransactionManager=DEBUG
logging.level.org.hibernate.resource.transaction=DEBUG
참고로 지금은 JPA를 사용하므로 트랜잭션 매니저로 JpaTransactionManager
가 실행되고, 여기의 로그를 출력 하게 된다.
이제 하나씩 실행하면서 결과를 확인해보자.
runtimeException() 실행시 - 런타임 예외
@Test
void runtimeException() {
Assertions.assertThatThrownBy(() -> service.runtimeException())
.isInstanceOf(RuntimeException.class);
}
RuntimeException
이 발생하므로 트랜잭션이 롤백된다.- 트랜잭션 이름은
클래스네임.메서드이름
이다.- 위에서는
RollbackService.runtimeException
이다.
- 위에서는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4-09-22T19:11:53.153+09:00 DEBUG 216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reating new transaction with name [hello.springtx.apply.RollbackTest$RollbackService.runtimeException]: PROPAGATION_REQUIRED,ISOLATION_DEFAULT
2024-09-22T19:11:53.197+09:00 DEBUG 216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Opened new EntityManager [SessionImpl(1836480472<open>)] for JPA transaction
2024-09-22T19:11:53.205+09:00 DEBUG 216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Exposing JPA transaction as JDBC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HibernateJpaDialect$HibernateConnectionHandle@62e99458]
2024-09-22T19:11:53.205+09:00 TRACE 21660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apply.RollbackTest$RollbackService.runtimeException]
// call
2024-09-22T19:11:53.206+09:00 INFO 21660 --- [ Test worker] h.s.apply.RollbackTest$RollbackService : call runtimeException
// 런타임 예외 밠앵
2024-09-22T19:11:53.206+09:00 TRACE 21660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apply.RollbackTest$RollbackService.runtimeException] after exception: java.lang.RuntimeException
// 롤백
2024-09-22T19:11:53.206+09:00 DEBUG 216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Initiating transaction rollback
2024-09-22T19:11:53.207+09:00 DEBUG 216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Rolling back JPA transaction on EntityManager [SessionImpl(1836480472<open>)]
2024-09-22T19:11:53.210+09:00 DEBUG 216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losing JPA EntityManager [SessionImpl(1836480472<open>)] after transaction
checkedException() 실행 - 체크 예외
@Test
void checkedException() {
assertThatThrownBy(() -> service.checkedException())
.isInstanceOf(MyException.class);
}
MyException
은Exception
을 상속받은 체크 예외이다. 따라서 예외가 발생해도 트랜잭션이 커밋된다.
다음은 실행 결과다.
2024-09-22T19:21:47.536+09:00 DEBUG 15004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reating new transaction with name [hello.springtx.apply.RollbackTest$RollbackService.checkedException]: PROPAGATION_REQUIRED,ISOLATION_DEFAULT
2024-09-22T19:21:47.579+09:00 DEBUG 15004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Opened new EntityManager [SessionImpl(448070390<open>)] for JPA transaction
2024-09-22T19:21:47.584+09:00 DEBUG 15004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Exposing JPA transaction as JDBC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HibernateJpaDialect$HibernateConnectionHandle@566cc6af]
2024-09-22T19:21:47.584+09:00 TRACE 15004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apply.RollbackTest$RollbackService.checkedException]
2024-09-22T19:21:47.585+09:00 INFO 15004 --- [ Test worker] h.s.apply.RollbackTest$RollbackService : call checkedException
2024-09-22T19:21:47.585+09:00 TRACE 15004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apply.RollbackTest$RollbackService.checkedException] after exception: hello.springtx.apply.RollbackTest$MyException
// 커밋
2024-09-22T19:21:47.585+09:00 DEBUG 15004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Initiating transaction commit
2024-09-22T19:21:47.586+09:00 DEBUG 15004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ommitting JPA transaction on EntityManager [SessionImpl(448070390<open>)]
2024-09-22T19:21:47.589+09:00 DEBUG 15004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losing JPA EntityManager [SessionImpl(448070390<open>)] after transaction
rollbackFor
이 옵션을 사용하면 기본 정책에 추가로 어떤 예외가 발생할 때 롤백할 지 지정할 수 있다.
@Transactional(rollbackFor = Exception.class)
예를 들어서 이렇게 지정하면 체크 예외인 Exception
이 발생해도 커밋 대신 롤백된다. (자식 타입도 롤백된다.)
rollbackFor() 실행 - 체크 예외를 강제로 롤백
@Test
void rollbackFor() {
assertThatThrownBy(() -> service.rollbackFor())
.isInstanceOf(MyException.class);
}
- 기본 정책과 무관하게 특정 예외를 강제로 롤백하고 싶으면
rollbackFor
를 사용하면 된다. (해당 예외의 자식도 포함된다.) rollbackFor = MyException.class
을 지정했기 때문에MyException
이 발생하면 체크 예외이지만 트랜잭션이 롤백된다.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4-09-22T19:23:48.692+09:00 DEBUG 23928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reating new transaction with name [hello.springtx.apply.RollbackTest$RollbackService.rollbackFor]: PROPAGATION_REQUIRED,ISOLATION_DEFAULT,-hello.springtx.apply.RollbackTest$MyException
2024-09-22T19:23:48.729+09:00 DEBUG 23928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Opened new EntityManager [SessionImpl(713961699<open>)] for JPA transaction
2024-09-22T19:23:48.734+09:00 DEBUG 23928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Exposing JPA transaction as JDBC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HibernateJpaDialect$HibernateConnectionHandle@d70dbeb]
2024-09-22T19:23:48.735+09:00 TRACE 23928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apply.RollbackTest$RollbackService.rollbackFor]
2024-09-22T19:23:48.735+09:00 INFO 23928 --- [ Test worker] h.s.apply.RollbackTest$RollbackService : call rollbackFor
2024-09-22T19:23:48.736+09:00 TRACE 23928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apply.RollbackTest$RollbackService.rollbackFor] after exception: hello.springtx.apply.RollbackTest$MyException
// 커밋해야 함에도 롤백을 한다.
2024-09-22T19:23:48.736+09:00 DEBUG 23928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Initiating transaction rollback
2024-09-22T19:23:48.736+09:00 DEBUG 23928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Rolling back JPA transaction on EntityManager [SessionImpl(713961699<open>)]
2024-09-22T19:23:48.740+09:00 DEBUG 23928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losing JPA EntityManager [SessionImpl(713961699<open>)] after transaction
2-9. 예외와 트랜잭션 커밋, 롤백 - 활용
스프링은 왜 체크 예외는 커밋하고, 언체크(런타임) 예외는 롤백할까?
스프링 기본적으로 체크 예외는 비즈니스 의미가 있을 때 사용하고, 런타임(언체크) 예외는 복구 불가능한 예외로 가정한다.
- 체크 예외
- 비즈니스 의미가 있을 때 사용
- 언체크 예외
- 복구 불가능한 예외
- ex)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예외
- 데이터 접근이 안 되거나
- SQL 문법 오류
- 네트워크 통신이 안 되는 경우
- ex)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예외
- 복구 불가능한 예외
참고로 꼭 이런 정책을 따를 필요는 없다.
그때는 앞서 배운 rollbackFor
라는 옵션을 사용해서 체크 예외도 롤백하면 된다.
그런데 비즈니스 의미가 있는 비즈니스 예외라는 것이 무슨 뜻일까?
간단한 예제로 알아보자.
비즈니스 요구사항
주문을 하는데 상황에 따라 다음과 같이 조치한다.
- 정상: 주문시 결제를 성공하면 주문 데이터를 저장하고 결제 상태를
완료
로 처리한다.
- 정상: 주문시 결제를 성공하면 주문 데이터를 저장하고 결제 상태를
- 시스템 예외: 주문시 내부에 복구 불가능한 예외가 발생하면 전체 데이터를 롤백한다.
- 비즈니스 예외: 주문시 결제 잔고가 부족하면 주문 데이터를 저장하고, 결제 상태를
대기
로 처리한다.- 이 경우 고객에게 잔고 부족을 알리고 별도의 계좌로 입금하도록 안내한다.
- 비즈니스 예외: 주문시 결제 잔고가 부족하면 주문 데이터를 저장하고, 결제 상태를
이때 결제 잔고가 부족하면 NotEnoughMoneyException
이라는 체크 예외가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이 예외는 시스템에 문제가 있어서 발생하는 시스템 예외가 아니다.
시스템은 정상 동작했지만, 비즈니스 상황에서 문제가 되기 때문에 발생한 예외이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고객의 잔고가 부족한 것은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시스템은 문제 없이 동작한 것이고, 비즈니스 상황이 예외인 것이다.
이런 예외를 비즈니스 예외라 한다.
그리고 비즈니스 예외는 매우 중요하고, 반드시 처리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체크 예외를 고려할 수 있다.
실제 코드로 알아보자.
다음 부분은 테스트를 제외하고 src/main
에 작성하자.hello/springtx/order
에서 NotEnoughMoneyException
를 작성하자.
package hello.springtx.order;
public class NotEnoughMoneyException extends Exception {
public NotEnoughMoneyException(String message) {
super(message);
}
}
- 결제 잔고가 부족하면 발생하는 비즈니스 예외이다. Exception 을 상속 받아서 체크 예외가 된다.
Order
클래스이다.
package hello.springtx.order;
import jakarta.persistence.Entity;
import jakarta.persistence.GeneratedValue;
import jakarta.persistence.Id;
import jakarta.persistence.Table;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Setter;
@Entity
@Table(name = "orders")
@Getter
@Setter
public class Ord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 정상, 예외, 잔고부족
private String payStatus; // 대기, 완료
}
- JPA를 사용하는
Order
엔티티이다. - 예제를 단순하게 하기 위해
@Getter
,@Setter
를 사용했다. 참고로 실무에서 엔티티에@Setter
를 남발해서 불필요한 변경 포인트를 노출하는 것은 좋지 않다. - 주의!
@Table(name = "orders")
라고 했는데, 테이블 이름을 지정하지 않으면 테이블 이름이 클래스 이름인order
가 된다.order
는 데이터베이스 예약어(order by
)여서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orders
라는 테이블 이름을 따로 지정해주었다.
main 경로의 springtx.order
패키지의 OrderRepository 클래스를 다음처럼 작성하자.
package hello.springtx.order;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JpaRepository;
public interface Ord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Order, Long> {
}
- 스프링 데이터 JPA를 사용한다.
springtx.order
패키지에서 OrderService
클래스를 다음과 같이 작성하자.
package hello.springtx.order;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Slf4j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OrderRepository orderRepository;
// JPA는 트랜잭션 커밋 시점에 Order 데이터를 DB에 반영한다.
@Transactional
public void order(Order order) throws NotEnoughMoneyException {
log.info("order 호출");
orderRepository.save(order);
log.info("결제 프로세스 진입");
if(order.getUsername().equals("예외")) {
log.info("시스템 예외 발생");
throw new RuntimeException("시스템 예외");
} else if(order.getUsername().equals("잔고부족")) {
log.info("잔고 부족 비즈니스 예외 발생");
order.setPayStatus("대기");
throw new NotEnoughMoneyException("잔고가 부족합니다");
} else {
// 정상 승인
log.info("정상 승안");
order.setPayStatus("완료");
}
log.info("결제 프로세스 완료");
}
}
- 여러 상황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자 이름(
username
)에 따라서 처리 프로세스를 다르게 했다.기본
:payStatus
를 완료 상태로 처리하고 정상 처리된다.예외
:RuntimeException("시스템 예외")
런타임 예외가 발생한다.잔고부족
payStatus
를대기
상태로 처리한다.NotEnoughMoneyException("잔고가 부족합니다")
체크 예외가 발생한다.- 잔고 부족은
payStatus
를 대기 상태로 두고, 체크 예외가 발생하지만,order
데이터는 커밋되기를 기대한다.
테스트 경로의 springtx.order
패키지에서 OrderServiceTest
클래스를 다음처럼 작성하자.
package hello.springtx.order;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java.util.Optional;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
@Slf4j
@SpringBootTest
class OrderServiceTest {
@Autowired
OrderService orderService;
@Autowired
OrderRepository orderRepository;
@Test
void order() throws NotEnoughMoneyException {
//given
Order order = new Order();
order.setUsername("정상");
//when
orderService.order(order);
//then
Order findOrder = orderRepository.findById(order.getId()).get();
assertThat(findOrder.getPayStatus()).isEqualTo("완료");
}
@Test
void runtimeException() {
//given
Order order = new Order();
order.setUsername("예외");
//when
assertThatThrownBy(() -> orderService.order(order))
.isInstanceOf(RuntimeException.class)
.hasMessage("시스템 예외");
// then
Optional<Order> orderOptional = orderRepository.findById(order.getId());
assertThat(orderOptional.isEmpty()).isTrue();
}
@Test
void bizException() {
//given
Order order = new Order();
order.setUsername("잔고부족");
//when
try {
orderService.order(order);
} catch (NotEnoughMoneyException e) {
log.info("고객에게 잔고 부족을 알리고 별도의 계좌로 입금하도록 안내");
}
// then
Order findOrder = orderRepository.findById(order.getId()).get();
assertThat(findOrder.getPayStatus()).isEqualTo("대기");
}
}
다음은 order()
테스트 결과다.
커밋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4-09-22T20:31:55.714+09:00 INFO 644 --- [ Test worker] hello.springtx.order.OrderService : 결제 프로세스 진입
2024-09-22T20:31:55.715+09:00 INFO 644 --- [ Test worker] hello.springtx.order.OrderService : 정상 승안
2024-09-22T20:31:55.715+09:00 INFO 644 --- [ Test worker] hello.springtx.order.OrderService : 결제 프로세스 완료
2024-09-22T20:31:55.715+09:00 TRACE 644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order.OrderService.order]
2024-09-22T20:31:55.715+09:00 DEBUG 644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Initiating transaction commit
다음은 runtimeException()
테스트 결과다.
시스템 예외 발생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2024-09-22T20:38:42.262+09:00 DEBUG 20356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reating new transaction with name [hello.springtx.order.OrderService.order]: PROPAGATION_REQUIRED,ISOLATION_DEFAULT
2024-09-22T20:38:42.263+09:00 DEBUG 20356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Opened new EntityManager [SessionImpl(965874704<open>)] for JPA transaction
2024-09-22T20:38:42.270+09:00 DEBUG 20356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Exposing JPA transaction as JDBC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HibernateJpaDialect$HibernateConnectionHandle@115924ba]
2024-09-22T20:38:42.271+09:00 TRACE 20356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order.OrderService.order]
2024-09-22T20:38:42.271+09:00 INFO 20356 --- [ Test worker] hello.springtx.order.OrderService : order 호출
2024-09-22T20:38:42.277+09:00 DEBUG 20356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Found thread-bound EntityManager [SessionImpl(965874704<open>)] for JPA transaction
2024-09-22T20:38:42.277+09:00 DEBUG 20356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Participating in existing transaction
2024-09-22T20:38:42.277+09:00 TRACE 20356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SimpleJpaRepository.save]
2024-09-22T20:38:42.293+09:00 DEBUG 20356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select next value for orders_seq
2024-09-22T20:38:42.350+09:00 TRACE 20356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SimpleJpaRepository.save]
2024-09-22T20:38:42.351+09:00 INFO 20356 --- [ Test worker] hello.springtx.order.OrderService : 결제 프로세스 진입
// 시스템 발생
2024-09-22T20:38:42.351+09:00 INFO 20356 --- [ Test worker] hello.springtx.order.OrderService : 시스템 예외 발생
2024-09-22T20:38:42.351+09:00 TRACE 20356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order.OrderService.order] after exception: java.lang.RuntimeException: 시스템 예외
2024-09-22T20:38:42.352+09:00 DEBUG 20356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Initiating transaction rollback
// 롤백
2024-09-22T20:38:42.352+09:00 DEBUG 20356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Rolling back JPA transaction on EntityManager [SessionImpl(965874704<open>)]
2024-09-22T20:38:42.356+09:00 DEBUG 20356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losing JPA EntityManager [SessionImpl(965874704<open>)] after transaction
2024-09-22T20:38:42.376+09:00 DEBUG 20356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reating new transaction with name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SimpleJpaRepository.findById]: PROPAGATION_REQUIRED,ISOLATION_DEFAULT,readOnly
2024-09-22T20:38:42.376+09:00 DEBUG 20356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Opened new EntityManager [SessionImpl(247184928<open>)] for JPA transaction
2024-09-22T20:38:42.377+09:00 DEBUG 20356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Exposing JPA transaction as JDBC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HibernateJpaDialect$HibernateConnectionHandle@279e85eb]
2024-09-22T20:38:42.377+09:00 TRACE 20356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SimpleJpaRepository.findById]
2024-09-22T20:38:42.432+09:00 DEBUG 20356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select o1_0.id,o1_0.pay_status,o1_0.username from orders o1_0 where o1_0.id=?
2024-09-22T20:38:42.434+09:00 TRACE 20356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SimpleJpaRepository.findById]
2024-09-22T20:38:42.435+09:00 DEBUG 20356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Initiating transaction commit
2024-09-22T20:38:42.435+09:00 DEBUG 20356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ommitting JPA transaction on EntityManager [SessionImpl(247184928<open>)]
2024-09-22T20:38:42.436+09:00 DEBUG 20356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losing JPA EntityManager [SessionImpl(247184928<open>)] after transaction
bizException()
테스트 결과다.
WARNING: A Java agent has been loaded dynamically (C:\Users\kss10\.gradle\caches\modules-2\files-2.1\net.bytebuddy\byte-buddy-agent\1.14.19\154da3a65b4f4a909d3e5bdec55d1b2b4cbb6ce1\byte-buddy-agent-1.14.19.jar)
WARNING: If a serviceability tool is in use, please run with -XX:+EnableDynamicAgentLoading to hide this warning
WARNING: If a serviceability tool is not in use, please run with -Djdk.instrument.traceUsage for more information
WARNING: Dynamic loading of agents will be disallowed by default in a future release
2024-09-22T20:44:20.025+09:00 DEBUG 271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reating new transaction with name [hello.springtx.order.OrderService.order]: PROPAGATION_REQUIRED,ISOLATION_DEFAULT
2024-09-22T20:44:20.026+09:00 DEBUG 271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Opened new EntityManager [SessionImpl(2006005439<open>)] for JPA transaction
2024-09-22T20:44:20.034+09:00 DEBUG 271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Exposing JPA transaction as JDBC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HibernateJpaDialect$HibernateConnectionHandle@20a3321a]
2024-09-22T20:44:20.035+09:00 TRACE 27160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order.OrderService.order]
2024-09-22T20:44:20.035+09:00 INFO 27160 --- [ Test worker] hello.springtx.order.OrderService : order 호출
2024-09-22T20:44:20.041+09:00 DEBUG 271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Found thread-bound EntityManager [SessionImpl(2006005439<open>)] for JPA transaction
2024-09-22T20:44:20.041+09:00 DEBUG 271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Participating in existing transaction
2024-09-22T20:44:20.041+09:00 TRACE 27160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SimpleJpaRepository.save]
2024-09-22T20:44:20.054+09:00 DEBUG 27160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select next value for orders_seq
2024-09-22T20:44:20.107+09:00 TRACE 27160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SimpleJpaRepository.save]
2024-09-22T20:44:20.107+09:00 INFO 27160 --- [ Test worker] hello.springtx.order.OrderService : 결제 프로세스 진입
2024-09-22T20:44:20.107+09:00 INFO 27160 --- [ Test worker] hello.springtx.order.OrderService : 잔고 부족 비즈니스 예외 발생
2024-09-22T20:44:20.107+09:00 TRACE 27160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hello.springtx.order.OrderService.order] after exception: hello.springtx.order.NotEnoughMoneyException: 잔고가 부족합니다
// 커밋을 진행한다.
2024-09-22T20:44:20.108+09:00 DEBUG 271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Initiating transaction commit
2024-09-22T20:44:20.108+09:00 DEBUG 271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ommitting JPA transaction on EntityManager [SessionImpl(2006005439<open>)]
// insert & update
2024-09-22T20:44:20.125+09:00 DEBUG 27160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insert into orders (pay_status,username,id) values (?,?,?)
2024-09-22T20:44:20.135+09:00 DEBUG 27160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update orders set pay_status=?,username=? where id=?
2024-09-22T20:44:20.142+09:00 DEBUG 271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losing JPA EntityManager [SessionImpl(2006005439<open>)] after transaction
// 예외 던짐
2024-09-22T20:44:20.142+09:00 INFO 27160 --- [ Test worker] hello.springtx.order.OrderServiceTest : 고객에게 잔고 부족을 알리고 별도의 계좌로 입금하도록 안내
2024-09-22T20:44:20.143+09:00 DEBUG 271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reating new transaction with name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SimpleJpaRepository.findById]: PROPAGATION_REQUIRED,ISOLATION_DEFAULT,readOnly
2024-09-22T20:44:20.144+09:00 DEBUG 271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Opened new EntityManager [SessionImpl(186595045<open>)] for JPA transaction
2024-09-22T20:44:20.144+09:00 DEBUG 271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Exposing JPA transaction as JDBC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HibernateJpaDialect$HibernateConnectionHandle@52afcdd8]
2024-09-22T20:44:20.145+09:00 TRACE 27160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SimpleJpaRepository.findById]
2024-09-22T20:44:20.188+09:00 DEBUG 27160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select o1_0.id,o1_0.pay_status,o1_0.username from orders o1_0 where o1_0.id=?
2024-09-22T20:44:20.192+09:00 TRACE 27160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SimpleJpaRepository.findById]
2024-09-22T20:44:20.192+09:00 DEBUG 271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Initiating transaction commit
2024-09-22T20:44:20.192+09:00 DEBUG 271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ommitting JPA transaction on EntityManager [SessionImpl(186595045<open>)]
2024-09-22T20:44:20.192+09:00 DEBUG 27160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losing JPA EntityManager [SessionImpl(186595045<open>)] after transaction
준비
실행하기 전에 다음을 추가하자.
이렇게 하면 JPA(하이버네이트)가 실행하는 SQL을 로그로 확인할 수 있다.logging.level.org.hibernate.SQL=DEBUG
application.properties
이다.
logging.level.org.springframework.transaction.interceptor=TRACE
logging.level.org.springframework.jdbc.datasource.DataSourceTransactionManager=DEBUG
#JPA log
logging.level.org.springframework.orm.jpa.JpaTransactionManager=DEBUG
logging.level.org.hibernate.resource.transaction=DEBUG
#JPA SQL
logging.level.org.hibernate.SQL=DEBUG
우리는 테이블을 생성한 기억이 없을 것이다.
지금처럼 메모리 DB를 통해 테스트를 수행하면 테이블 자동 생성 옵션이 활성화 된다.
JPA는 엔티티 정보를 참고해서 테이블을 자동으로 생성해준다.
- 참고로 테이블 자동 생성은
application.properties
에spring.jpa.hibernate.ddl-auto
옵션을 조정할 수 있다.none
: 테이블을 생성하지 않는다.create
: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테이블을 생성한다.
실행 SQL은 다음과 같다.
2024-09-22T20:31:54.429+09:00 DEBUG 644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drop table if exists orders cascade
2024-09-22T20:31:54.434+09:00 DEBUG 644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drop sequence if exists orders_seq
2024-09-22T20:31:54.438+09:00 DEBUG 644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create sequence orders_seq start with 1 increment by 50
2024-09-22T20:31:54.447+09:00 DEBUG 644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create table orders (id bigint not null, pay_status varchar(255), username varchar(255), primary key (id))
complete()
사용자 이름을 정상
으로 설정했다.
모든 프로세스가 정상 수행된다.
다음을 통해서 데이터가 완료 상태로 저장 되었는지 검증한다. assertThat(findOrder.getPayStatus()).isEqualTo("완료");
runtimeException()
사용자 이름을 예외
로 설정했다.RuntimeException("시스템 예외")
이 발생한다.
런타임 예외로 롤백이 수행되었기 때문에 Order
데이터가 비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bizException()
사용자 이름을 잔고부족
으로 설정했다.NotEnoughMoneyException("잔고가 부족합니다")
이 발생한다.
체크 예외로 커밋이 수행되었기 때문에 Order
데이터가 저장된다.
다음을 통해서 데이터가 대기 상태로 잘 저장 되었는지 검증한다.assertThat(findOrder.getPayStatus()).isEqualTo("대기");
정리
NotEnoughMoneyException
은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 아니라, 비즈니스 문제 상황을 예외를 통해 알려준다.- 마치 예외가 리턴 값 처럼 사용된다.
- 따라서 이 경우에는 트랜잭션을 커밋하는 것이 맞다.
- 이 경우 롤백하면 생성한
Order
자체가 사라진다. - 그러면 고객에게 잔고 부족을 알리고 별도의 계좌로 입금하도록 안내해도 주문(
Order
) 자체가 사라지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 그런데 비즈니스 상황에 따라 체크 예외의 경우에도 트랜잭션을 커밋하지 않고, 롤백하고 싶을 수 있다.
- 이때는
rollbackFor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 이때는
- 런타임 예외는 항상 롤백된다.
- 체크 예외의 경우
rollbackFor
옵션을 사용해서 비즈니스 상황에 따라서 커밋과 롤백을 선택하면 된다.
3. 요약
@Transactional
에 대해서 겁나게 자세히 알아봤다.- 예외 처리가 중요하구나를 생각하게 되었다.
- 시스템의 장애인지
- 비즈니스의 예외인지 잘 체크해야 한다.
- 영한님 ㄹㅇ.. 장난 아니다.
- 고급편은 얼마나 깊은 내용을 가져올지 기대가 된다...
- 일단 남은 섹션 2개 마저 듣자..!
'Spring Project > Spring &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DB2편 - Ch11. 스프링 트랜잭션 전파2 - 활용 (0) | 2024.09.29 |
---|---|
스프링 DB2편 - Ch10. 스프링 트랜잭션 전파1 - 기본 (1) | 2024.09.25 |
스프링 DB2편 - Ch08. 데이터 접근 기술 - 활용 방안 (3) | 2024.09.08 |
스프링 캠프 전체 영상 URL (0) | 2024.08.30 |
스프링 DB2편 - Ch05,06,07. 데이터 접근 기술 - JPA, 스프링 데이터 JPA, Querydsl (0) | 2024.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