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바 입출력 스트림
- 자바 io 보조스트림
- 컨테이너
- Docker
- 쓰레드
- 김영한
- 도커
- 인프런
- 자바
- 실전 자바 고급 1편
- Thread
- filewriter filereader
- 쿠버네티스
- 알고리즘
- 리스트
- 도커 엔진
- container
- java
- LIST
- Kubernetes
- 스레드 제어와 생명 주기
- 시작하세요 도커 & 쿠버네티스
- java socket
- 멀티 쓰레드
- 자료구조
- java network
- Collection
- 동시성
- 스레드
- Java IO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58)
쌩로그
처음엔 싫었다..솔직히는 두려웠던 것도 있던 거 같았다.못 찾을 수도 있다는 두려움이었던 것 같다.회사에서 어떤 페이지에서 데이터가 안 나오는 이슈를 보고 원인과 관계를 파악하다보니, 코드를 읽어가는 일이 조금 많아졌다.솔직히 처음 봤을 때 서비스 메서드 코드가 약 200 줄 되었는데, 솔직히 보기 싫었다.그래도 봐야할 이유가 있기 때문에 들여다 봤다. 200줄 중간쯤 다른 메서드 호출하는데,그 메서드는 클래스가 1000줄인데, 메서드가 800줄이었다...(ㅋㅋㅋㅋ)지금도 생각하면 헛웃음이 나온다.쉼호흡을 하고 읽어가기 시작했다(물론 읽다가 포기한 적 많다....)이제 매퍼를 통해서 SQL을 호출한다.SQL을 보니 코드라인이 200이네...??쓰읍...쉽지 않았다.다행히 보다보니 SQL로 넘겨주는 값들은..
중요하다..사람은 말을 잘 해야한다.먈하는 대로 일상이 흘러간다.몇 주전에 6월에 바쁠것 같다고 하니까 미친듯이 바빠졌다.바빠보니까 여유롭고 싶다.아니 그보다 적당히 하고있는 일은 순조롭게 진행되면서 개인적인 시간은 오직 개인적인 일에만 몰두할 수 있을 정도가 되면 좋겠다.꼭 그런 일상이 될거라고 생각한다.이미 그렇게 되고있다... 생각한다가끔 끌어당김(?) 이라는 글이나 영상이 보인다.솔직히 잘 모르겠는데, 맞는 것 같다...예전에 스윙스가 신사임당과 인터뷰를 한 것이 있었다.https://youtu.be/XmnB0qV5U6E?si=YjBwM11i4zspN0Hf 스윙스가 쇼미더머니 9인가 나와서 준결승까지 간걸로 기억한다.8에서 프로듀서였는데 인맥힙합이라고..
목차포스팅 개요본론 2-1. 프로젝트 배경 2-2. 나의 착각 2-3. 소스코드를 보지 않아도 되지만 본다는 것 2-4. 결론 2-5. 내가 했던 실수 2-6. MyBatis가 아닌 JPA라면이번 일에 대한 생각요약1. 포스팅 개요나는 현재 SI 회사에 몸담그고 있고, 한국의 모 대기업의 외주를 받아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있)는데 주로 하는 일은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이다.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해야하는데, 어떤 테이블을 마이그레이션 해야하는지 파악하는 것은 순전히 우리 팀 몫이었다.지금 한창 마이그레이션에 많은 시간과 일을 할애 중인데, 다음엔 어떻게 더 빨리 파악할 수 있을까 생각한 것을 정리하고자 해당 포스팅을 작성한다.2. 본론2-1. 프로젝트 배경일단은 현재 프로젝트는 MSA 구조다.서버가 각 역할..

엑셀 고수까진 아니고 중수가 되간다??ㄱㅇㄷ?!근데 나도 일 할 때 코딩하고 싶다.....모듈 분리 빠아악하고,객체지향적으로 코드 빠아악 짜고 메서드 이름은 의미있게 마아악 지어보고CQRS 패턴 도입 마아아악 해보고,Enum 처리할 수 있는거 빠아악 해보고아키텍처 조물딱 조물딱 만져보고,테스트 코드 요구사항에 맞게 잘 짜고 초록색깔 보고 기분 사아악 좋아보고..커밋하고 PR 날리보고누가 코드 왜 이렇게 짰냐고 질문도 받아보고,내 생각은 이래서 이렇게 했다. 더 좋은 방향있심까 하면서 마아아악 좋게 말해보고,이건 이런 문제가 생길 수 있지 않겠냐라고 ㅎ태글 훅 들어오면,제가 미쳐 거기까진 생각 못 해봤네요..하면서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함 해보게씸더 이러고 그리고 시간 좀 지나서 근데 제가 이거..
목차포스팅 개요본론 2-1. 람다가 필요한 이유1 2-2. 람다가 필요한 이유2 2-3. 람다가 필요한 이유3 2-4. 함수 vs 메서드 2-5. 람다 시작요약1. 포스팅 개요해당 포스팅은 김영한의 실전 자바 고급 3편 Section 2의 람다가 필요한 이유 에 대한 학습 내용이다.학습 레포 URL : https://github.com/SsangSoo/inflearn-holyeye-java-adv3 (해당 레포는 완강시 public으로 전환 예정이다.)2. 본론2-1. 람다가 필요한 이유1람다를 본격적으로 학습하기 전에, 먼저 람다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알아본다.람다를 이해하려면 먼저 내부 클래스에 대한 개념을 확실히 알아두어야 한다. 지금 잠시 설명하는 내용은 익명 클래스 활용의 심화적인 내용이다.람..
목차포스팅 개요본론 2-1. HTTP 서버7 - 애노테이션 서블릿1 - 시작 2-2. HTTP 서버8 - 애노테이션 서블릿2 - 동적 바인딩 2-3. HTTP 서버9 - 애노테이션 서블릿3 - 성능 최적화 2-4. HTTP 서버 활용 - 회원 관리 서비스1 2-5. HTTP 서버 활용 - 회원 관리 서비스2요약1. 포스팅 개요해당 포스팅은 김영한의 실전 자바 고급 2편 Section 15의 HTTP 서버 활용 에 대한 학습 내용이다.학습 레포 URL : https://github.com/SsangSoo/inflearn-holyeye-java-adv2 (해당 레포는 완강시 public으로 전환 예정이다.)2. 본론2-1. HTTP 서버7 - 애노테이션 서블릿1 - 시작지금까지 학습한 애노테이션 내용을 바탕..
목차포스팅 개요본론 2-1. 에노테이션이 필요한 이유 2-2. 애노테이션 정의 2-3. 메타 애노테이션 2-4. 애노테이션과 상속 2-5. 애노테이션 활용 - 검증기 2-6. 자바 기본 애노테이션요약1. 포스팅 개요해당 포스팅은 김영한의 실전 자바 고급 2편 Section 14의 애노테이션 에 대한 학습 내용이다.학습 레포 URL : https://github.com/SsangSoo/inflearn-holyeye-java-adv2 (해당 레포는 완강시 public으로 전환 예정이다.)2. 본론2-1. 에노테이션이 필요한 이유남은 문제점 리플렉션 서블릿은 요청 URL과 메서드 이름이 같다면 해당 메서드를 동적으로 호출할 수 있다. 하지만 요청 이름과 메서드 이름을 다르게 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예를..
목차포스팅 개요본론 2-1. 리플렉션이 필요한 이유 2-2. 클래스와 메타데이터 2-3. 메서드 탐색과 동적 호출 2-4. 필드 탐색과 값 변경 2-5. 리플렉션 - 활용 예제 2-6. 생성자 탐색과 객체 생성 2-7. HTTP 서버6 - 리플렉션 서블릿요약1. 포스팅 개요해당 포스팅은 김영한의 실전 자바 고급 2편 Section 13의 리플렉션 에 대한 학습 내용이다.학습 레포 URL : https://github.com/SsangSoo/inflearn-holyeye-java-adv2 (해당 레포는 완강시 public으로 전환 예정이다.)2. 본론2-1. 리플렉션이 필요한 이유우리가 앞서 커맨드 패턴으로 만든 서블릿은 아주 유용하지만, 몇 가지 단점이 있다. 하나의 클래스에 하나의 기능만 만들 수 있다..
목차포스팅 개요본론 2-1. HTTP 서버1 - 시작 2-2. HTTP 서버2 - 동시 요청 2-3. HTTP 서버3 - 기능 추가 2-4. URL 인코딩 2-5. HTTP 서버4 - 요청, 응답 2-6. HTTP 서버5 - 커맨드 패턴 2-7.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역사요약1. 포스팅 개요해당 포스팅은 김영한의 실전 자바 고급 2편 Section 12의 HTTP - 서버 만들기 에 대한 학습 내용이다.학습 레포 URL : https://github.com/SsangSoo/inflearn-holyeye-java-adv2 (해당 레포는 완강시 public으로 전환 예정이다.)참고로 Seciton 11 의 내용을 skip 했는데, 영한님의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강의의 일부이기 때문에 ..
목차포스팅 개요본론 2-1. 채팅 프로그램 - 설계 2-2. 채팅 프로그램 - 클라이언트 2-3. 채팅 프로그램 - 서버1 2-4. 채팅 프로그램 - 서버2 2-5. 채팅 프로그램 - 서버3 2-6. 채팅 프로그램 - 서버4요약1. 포스팅 개요해당 포스팅은 김영한의 실전 자바 고급 2편 Section 10의 채팅 프로그램 에 대한 학습 내용이다.학습 레포 URL : https://github.com/SsangSoo/inflearn-holyeye-java-adv2 (해당 레포는 완강시 public으로 전환 예정이다.)2. 본론2-1. 채팅 프로그램 - 설계지금까지 학습한 네트워크를 활용해서 간단한 채팅 프로그램을 만들어본다.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는 모두 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