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리스트
- Collection
- Docker
- 자바 입출력 스트림
- Java IO
- 멀티 쓰레드
- java socket
- filewriter filereader
- 자바
- 알고리즘
- 컨테이너
- 자료구조
- 김영한
- 쓰레드
- 인프런
- 스레드
- 시작하세요 도커 & 쿠버네티스
- container
- 동시성
- 스레드 제어와 생명 주기
- 실전 자바 고급 1편
- 도커
- LIST
- 도커 엔진
- java network
- Kubernetes
- java
- Thread
- 쿠버네티스
- 자바 io 보조스트림
Archives
- Today
- Total
쌩로그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 01. 리액트 시작 본문
반응형
목록
- 포스팅 개요
- 본론
2-1. 왜 리액트인가?
2-2. 리액트의 특징
2-3. 작업 환경 설정 - 요약
1. 포스팅 개요
해당 포스팅은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의 01장 리액트 시작
을 학습하며 정리한 포스팅이다.
2. 본론
2-1. 왜 리액트인가?
리액트
- 최대한 성능을 아끼고 편안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제공하면서 구현하고자 개발한 것이 리액트(react)이다.
- 오직 View만 신경 쓰는 라이브러리이다.
렌더링
- 사용자 화면에 뷰를 보여주는 것
리액트를 사용하려면 리액트 컴포넌트가 최초로 실행한 '초기 렌더링'과 컴포넌트의 데이터 변경으로 다시 실행되는 '리렌더링' 개념을 이해해야한다.
컴포넌트는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때 바로 DOM에 반영하지 않고, 이전에 render 함수가 만들었던 컴포넌트 정보와 현재 render 함수가 만든 컴포넌트 정보를 비교한다.

2-2. 리액트의 특징
리액트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Virtual DOM을 사용하는 것이다.
- DOM(Document Object Model)은 긱체로 문서 구조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DOM은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 동적 UI에 최적화되어 있지 않다
- DOM 자체는 빠르다.
Virtual DOM
- Virtual DOM을 사용하면 실제 DOM에 접근하여 조작하는 대신, 이를 추상화한 자바스크립트 객체를 구성하여 사용한다.
- 리액트에서 데이터가 변하여 웹 브라우저에 실제 DOM을 업데이트할 때는 다음 세 가지 절차를 밟는다.
-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면 전체 UI를 Virtual DOM에 리렌더링한다.
- 이전 Virtual DOM에 있던 내용과 현재 내용을 비교합니다.
- 바뀐 부분만 실제 DOM에 적용한다.
리액트 매뉴얼은 다음과 같은 문장이 있다.(지금은 모름. )
우리는 다음 문제를 해결하려고 리액트를 만들었습니다.
지속적으로 데이터가 변화하는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구축하기
메타 멋있따이
다른 웹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와 혼용가능하다.
- 리액트는 라이브러리이기 때문에 혼용가능하다.
- 리액트의 단점이라면 여러 라이브러리를 접해야한다.
2-3. 작업 환경 설정
이 부분은 따로
Node.js와 npm
- Node.js는 크롬 V8 자바스크립트 엔진으로 빌드한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이다.
3. 요약
요약할 건 딱히 없다.
ㄹㅇ 개요다.
728x90
'Front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 06. 컴포넌트 반복 (0) | 2024.04.10 |
---|---|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 05. ref - DOM에 이름 달기 (0) | 2024.04.10 |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 04. 이벤트 핸들링 (0) | 2024.04.08 |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 03. 컴포넌트 (0) | 2024.04.02 |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 02. JSX (0) | 2024.03.26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