쌩로그

스프링 DB1편 - Ch02. 커넥션 풀과 데이터소스 이해 본문

Spring Project/Spring & Spring Boot

스프링 DB1편 - Ch02. 커넥션 풀과 데이터소스 이해

.쌩수. 2024. 7. 18. 23:14
반응형

목록

  1. 포스팅 개요
  2. 본론
      2-1. 커넥션 풀 이해
      2-2. DataSource 이해
      2-3. DataSource 예제1 - DriverManager
      2-4. DataSource 예제2 - 커넥션 풀
      2-5. DataSource 적용
  3. 요약

1. 포스팅 개요

인프런에서 영한님의 스프링 DB 1편 Section 02 커넥션 풀과 데이터소스 이해를 학습하며 정리한 포스팅이다.

2. 본론

2-1. 커넥션 풀 이해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매번 획득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획득할 때는 다음과 같은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1. 애플리케이션 로직은 DB 드라이버를 통해 커넥션을 조회한다.
  2. DB 드라이버는 DB와 TCP/IP 커넥션을 연결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3 way handshake 같은 TCP/IP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동작이 발생한다.
  3. DB 드라이버는 TCP/IP 커넥션이 연결되면 ID, PW와 기타 부가정보를 DB에 전달한다.
  4. DB는 ID, PW를 통해 내부 인증을 완료하고, 내부에 DB 세션을 생성한다.
  5. DB는 커넥션 생성이 완료되었다는 응답을 보낸다.
  6. DB 드라이버는 커넥션 객체를 생성해서 클라이언트에 반환한다.

이렇게 커넥션을 새로 만드는 것은 과정도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많이 소모되는 일이다.
DB는 물론이고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도 TCP/IP 커넥션을 새로 생성하기 위한 리소스를 매번 사용해야 한다.
진짜 문제는 고객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 SQL을 실행하는 시간 뿐만 아니라 커넥션을 새로 만드는 시간이 추가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응답 속도에 영향을 준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좋지 않은 경험을 줄 수 있다.

참고
데이터베이스마다 커넥션을 생성하는 시간은 다르다.
시스템 상황마다 다르지만 MySQL 계열은 수 ms(밀 리초) 정도로 매우 빨리 커넥션을 확보할 수 있다.
반면에 수십 밀리초 이상 걸리는 데이터베이스들도 있다.

이런 문제를 한번에 해결하는 아이디어가 바로 커넥션을 미리 생성해두고 사용하는 커넥션 풀이라는 방법이다.
커넥션 풀은 이름 그대로 커넥션을 관리하는 풀(수영장 풀을 상상하면 된다.)이다.

커넥션 풀 초기화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는 시점에 커넥션 풀은 필요한 만큼 커넥션을 미리 확보해서 풀에 보관한다. 보통 얼마나 보관할 지는 서비스의 특징과 서버 스펙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값은 보통 10개이다

커넥션 풀의 연결 상태

커넥션 풀에 들어 있는 커넥션은 TCP/IP로 DB와 커넥션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즉시 SQL을 DB 에 전달할 수 있다.

커넥션 풀 사용1

  • 애플리케이션 로직에서 이제는 DB 드라이버를 통해서 새로운 커넥션을 획득하는 것이 아니다.
  • 이제는 커넥션 풀을 통해 이미 생성되어 있는 커넥션을 객체 참조로 그냥 가져다 쓰기만 하면 된다.
  • 커넥션 풀에 커넥션을 요청하면 커넥션 풀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커넥션 중에 하나를 반환한다.

커넥션 풀 사용2

  • 애플리케이션 로직은 커넥션 풀에서 받은 커넥션을 사용해서 SQL을 데이터베이스에 전달하고 그 결과를 받아서 처리한다.
  • 커넥션을 모두 사용하고 나면 이제는 커넥션을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에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 커넥션을 그대로 커넥션 풀에 반환하면 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커넥션을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커넥션이 살아있는 상태로 커넥션 풀에 반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리

  • 적절한 커넥션 풀 숫자는 서비스의 특징과 애플리케이션 서버 스펙, DB 서버 스펙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성능 테스트를 통해서 정해야 한다.
  • 커넥션 풀은 서버당 최대 커넥션 수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DB에 무한정 연결이 생성되는 것을 막아주어서 DB를 보호하는 효과도 있다.
  • 이런 커넥션 풀은 얻는 이점이 매우 크기 때문에 실무에서는 항상 기본으로 사용한다.
  • 커넥션 풀은 개념적으로 단순해서 직접 구현할 수도 있지만, 사용도 편리하고 성능도 뛰어난 오픈소스 커넥션 풀이 많기 때문에 오픈소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대표적인 커넥션 풀 오픈소스는 commons-dbcp2 , tomcat-jdbc pool , HikariCP 등이 있다.
  • 성능과 사용의 편리함 측면에서 최근에는 hikariCP 를 주로 사용한다. 스프링 부트 2.0 부터는 기본 커넥션 풀 로 hikariCP 를 제공한다. 성능, 사용의 편리함, 안전성 측면에서 이미 검증이 되었기 때문에 커넥션 풀을 사용 할 때는 고민할 것 없이 hikariCP 를 사용하면 된다. 실무에서도 레거시 프로젝트가 아닌 이상 대부분 hikariCP 를 사용한다.

2-2. DataSource 이해

커넥션을 얻는 방법은 앞서 학습한 JDBC DriverManager 를 직접 사용하거나, 커넥션 풀을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 법이 존재한다.

커넥션을 획득하는 다양한 방법

DriverManager를 통해 커넥션 획득

  • 우리가 앞서 JDBC로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처럼 DriverManager 를 통해서 커넥션을 획득하다가, 커넥션 풀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변경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DriverManager를 통해 커넥션 획득하다가 커넥션 풀로 변경시 문제

  • 예를 들어서 애플리케이션 로직에서 DriverManager 를 사용해서 커넥션을 획득하다가 HikariCP 같은 커넥션 풀을 사용하도록 변경하면 커넥션을 획득하는 애플리케이션 코드도 함께 변경해야 한다. 의존관계가 DriverManager 에서 HikariCP 로 변경되기 때문이다. 물론 둘의 사용법도 조금씩 다를 것이다.

커넥션을 획득하는 방법을 추상화

  • 자바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javax.sql.DataSource 라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DataSource커넥션을 획득하는 방법을 추상화하는 인터페이스이다.
  • 이 인터페이스의 핵심 기능은 커넥션 조회 하나이다. (다른 일부 기능도 있지만 크게 중요하지 않다.)

DataSource 핵심 기능만 축약하면 다음과 같다.

public interface DataSource { Connection getConnection() throws SQLException; }

정리

  • 대부분의 커넥션 풀은 DataSource 인터페이스를 이미 구현해두었다. 따라서 개발자는 DBCP2 커넥션 풀 , HikariCP 커넥션 풀의 코드를 직접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DataSource 인터페이스에만 의존하도록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작성하면 된다.
  • 커넥션 풀 구현 기술을 변경하고 싶으면 해당 구현체로 갈아끼우기만 하면 된다.
  • DriverManagerDataSourc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DriverManager 는 직접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DriverManager 를 사용하다가 DataSource 기반의 커넥션 풀을 사용하도록 변경하면 관련 코드를 다 고쳐야 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프링은 DriverManagerDataSource 를 통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DriverManagerDataSource 라는 DataSource 를 구현한 클래스를 제공한다.
  • 자바는 DataSource 를 통해 커넥션을 획득하는 방법을 추상화했다. 이제 애플리케이션 로직은 DataSource 인터페이스에만 의존하면 된다. 덕분에 DriverManagerDataSource 를 통해서 DriverManager 를 사용하다가 커넥션 풀을 사용하도록 코드를 변경해도 애플리케이션 로직은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2-3. DataSource 예제1 - DriverManager

예제를 통해 DataSource 를 알아보자.
먼저 기존에 개발했던 DriverManager 를 통해서 커넥션을 획득하는 방법을 확인해보자.

테스트 경로의 jdbc.connection에서 ConnectionTest를 다음과 같이 작성하자.

package hello.jdbc.connection;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jdbc.datasource.DriverManagerDataSource;  

import javax.sql.DataSource;  
import java.sql.Connection;  
import java.sql.DriverManager;  
import java.sql.SQLException;  

import static hello.jdbc.connection.ConnectionConst.*;  

@Slf4j  
public class ConnectionTest {  

    @Test  
    void diverManager() throws SQLException {  
        Connection con1 = DriverManager.getConnection(URL, USERNAME, PASSWORD);  
        Connection con2 = DriverManager.getConnection(URL, USERNAME, PASSWORD);  
        log.info("connection={}, class={}", con1, con1.getClass());  
        log.info("connection={}, class={}", con2, con2.getClass());  
    }  

}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21:45:14.177 [Test worker] INFO  h.jdbc.connection.ConnectionTest -- connection=conn0: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class org.h2.jdbc.JdbcConnection
21:45:14.182 [Test worker] INFO  h.jdbc.connection.ConnectionTest -- connection=conn1: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class org.h2.jdbc.JdbcConnection

이번에는 스프링이 제공하는 DataSource 가 적용된 DriverManagerDriverManagerDataSource 를 사용해보자.

이번에는 스프링이 제공하는 DataSource 가 적용된 DriverManagerDriverManagerDataSource 를 사용해보자.

ConnectionTest - 데이터소스 드라이버 매니저 추가

jdbc.connection 패키지에서 ConnectionTest를 다음 테스트를 추가로 작성하자.

    @Test  
    void dataSourceDriverManager() throws SQLException {  
        //DriverManagerDataSource - 항상 새로운 커넥션을 획득  
        DriverManagerDataSource dataSource = new DriverManagerDataSource(URL, USERNAME, PASSWORD);  
        userDataSource(dataSource);  
    }  

    private void userDataSource(DataSource dataSource) throws SQLException {  
        Connection con1 = dataSource.getConnection();  
        Connection con2 = dataSource.getConnection();  
        log.info("connection={}, class={}", con1, con1.getClass());  
        log.info("connection={}, class={}", con2, con2.getClass());  
    } 

dataSourceDriverManager() - 실행 결과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21:45:04.930 [Test worker] DEBUG o.s.j.d.DriverManagerDataSource -- Creating new JDBC DriverManager Connection to [jdbc:h2:tcp://localhost/~/jdbctest]
21:45:05.018 [Test worker] DEBUG o.s.j.d.DriverManagerDataSource -- Creating new JDBC DriverManager Connection to [jdbc:h2:tcp://localhost/~/jdbctest]
21:45:05.021 [Test worker] INFO  h.jdbc.connection.ConnectionTest -- connection=conn0: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class org.h2.jdbc.JdbcConnection
21:45:05.025 [Test worker] INFO  h.jdbc.connection.ConnectionTest -- connection=conn1: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class org.h2.jdbc.JdbcConnection

기존 코드와 비슷하지만 DriverManagerDataSourceDataSource 를 통해서 커넥션을 획득할 수 있다.
참고로 DriverManagerDataSource 는 스프링이 제공하는 코드이다.

로그를 보면 커넥션을 생성하고, 획득한다고 되어있는데, 원래 테스트만 실행하면 생성로그는 보이지 않는다.
스프링 부트 3.1 부터 기본 로그 레벨을 INFO로 빠르게 설정하기 때문에 로그를 확인할 수 없는데, 다음과 같이 하 기본 로그 레벨을 DEBUG로 설정해서 강의 내용과 같이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src/main/resources/logback.xml를 만들어서 다음과 같이 설정해주면 된다.

<configuration>  
    <appender name="STDOUT" class="ch.qos.logback.core.ConsoleAppender">  
        <encoder>            
            <pattern>%d{HH:mm:ss.SSS} [%thread] %-5level %logger{36} -%kvp- %msg%n</pattern>  
        </encoder>    
    </appender>    
    <root level="DEBUG">  
        <appender-ref ref="STDOUT" />  
    </root>
</configuration>

파라미터 차이

기존 DriverManager 를 통해서 커넥션을 획득하는 방법과 DataSource 를 통해서 커넥션을 획득하는 방법에는 큰 차이가 있다.

DriverManager

Connection con1 = DriverManager.getConnection(URL, USERNAME, PASSWORD);  
Connection con2 = DriverManager.getConnection(URL, USERNAME, PASSWORD);

DataSource

void dataSourceDriverManager() throws SQLException {  
    //DriverManagerDataSource - 항상 새로운 커넥션을 획득  
    DriverManagerDataSource dataSource = new DriverManagerDataSource(URL, USERNAME, PASSWORD);  
    userDataSource(dataSource);  
}  

private void userDataSource(DataSource dataSource) throws SQLException {  
    Connection con1 = dataSource.getConnection();  
    Connection con2 = dataSource.getConnection();  
    log.info("connection={}, class={}", con1, con1.getClass());  
    log.info("connection={}, class={}", con2, con2.getClass());  
}
  • DriverManager 는 커넥션을 획득할 때 마다 URL , USERNAME , PASSWORD 같은 파라미터를 계속 전달해야 한다.
  • 반면에 DataSource 를 사용하는 방식은 처음 객체를 생성할 때만 필요한 파리미터를 넘겨두고, 커넥션을 획득할 때는 단순히 dataSource.getConnection() 만 호출하면 된다.

설정과 사용의 분리

  • 설정: DataSource 를 만들고 필요한 속성들을 사용해서 URL , USERNAME , PASSWORD 같은 부분을 입력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설정과 관련된 속성들은 한 곳에 있는 것이 향후 변경에 더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 사용: 설정은 신경쓰지 않고, DataSourcegetConnection()호출해서 사용하면 된다.

설정과 사용의 분리 설명

  • 이 부분이 작아 보이지만 큰 차이를 만들어내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DataSource 가 만들어지는 시점에 미리 다 넣어두게 되면, DataSource 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dataSource.getConnection() 만 호출하면 되므로, URL , USERNAME , PASSWORD 같은 속성들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 그냥 DataSource 만 주입받아서 getConnection() 만 호출하면 된다.
  • 쉽게 이야기해서 리포지토리(Repository)는 DataSource 만 의존하고, 이런 속성을 몰라도 된다.
  •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보면 보통 설정은 한 곳에서 하지만, 사용은 수 많은 곳에서 하게 된다.
  • 덕분에 객체를 설정하는 부분과, 사용하는 부분을 좀 더 명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2-4. DataSource 예제2 - 커넥션 풀

이번에는 DataSource 를 통해 커넥션 풀을 사용하는 예제를 알아보자.

ConnectionTest에서 데이터소스 커넥션 풀을 추가하는 코드를 다음처럼 작성하자.

@Test  
void dataSourceDriverManager() throws SQLException, InterruptedException {  
    //커넥션 풀링  
    HikariDataSource dataSource = new HikariDataSource();  
    dataSource.setJdbcUrl(URL);  
    dataSource.setUsername(USERNAME);  
    dataSource.setPassword(PASSWORD);  
    dataSource.setMaximumPoolSize(10);  
    dataSource.setPoolName("MyPool");  

    userDataSource(dataSource);  
    Thread.sleep(1000);  
}
  • HikariCP 커넥션 풀을 사용한다. HikariDataSourceDataSourc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있다.
  • 커넥션 풀 최대 사이즈를 10으로 지정하고, 풀의 이름을 MyPool 이라고 지정했다.
  • 커넥션 풀에서 커넥션을 생성하는 작업은 애플리케이션 실행 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별도의 쓰레드에서 작동한다. 별도의 쓰레드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테스트가 먼저 종료되어 버린다. 예제처럼 Thread.sleep 을 통해 대기 시간을 주어야 쓰레드 풀에 커넥션이 생성되는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Thread.sleep(1000); 코드가 없으면 커넥션을 풀에 추가하는 코드가 보이지 않는다.
아래 로그에서 MyPool connection adder 쓰레드가 있는데, 이 쓰레드가 커넥션 풀을 추가해준다.

실행 결과 로그는 다음과 같다.

# 설정!!!
21:58:30.276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MyPool - configuration:
21:58:30.294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allowPoolSuspension.............false
21:58:30.294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autoCommit......................true
21:58:30.294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catalog.........................none
21:58:30.294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connectionInitSql...............none
21:58:30.295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connectionTestQuery.............none
21:58:30.296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connectionTimeout...............30000
21:58:30.297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dataSource......................none
21:58:30.297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dataSourceClassName.............none
21:58:30.297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dataSourceJNDI..................none
21:58:30.298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dataSourceProperties............{password=<masked>}
21:58:30.298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driverClassName.................none
21:58:30.299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exceptionOverrideClassName......none
21:58:30.299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healthCheckProperties...........{}
21:58:30.299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healthCheckRegistry.............none
21:58:30.299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idleTimeout.....................600000
21:58:30.299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initializationFailTimeout.......1
21:58:30.299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isolateInternalQueries..........false
21:58:30.301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jdbc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21:58:30.301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keepaliveTime...................0
21:58:30.301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leakDetectionThreshold..........0
21:58:30.301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maxLifetime.....................1800000

# 설정!!!
21:58:30.302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maximumPoolSize.................10
21:58:30.302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metricRegistry..................none
21:58:30.302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metricsTrackerFactory...........none
21:58:30.302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minimumIdle.....................10
21:58:30.303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password........................<masked>

# 설정!!!
21:58:30.303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poolName........................"MyPool" 

21:58:30.304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readOnly........................false
21:58:30.305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registerMbeans..................false
21:58:30.305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scheduledExecutor...............none
21:58:30.306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schema..........................none
21:58:30.306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threadFactory...................internal
21:58:30.307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transactionIsolation............default
21:58:30.307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username........................"sa"
21:58:30.307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validationTimeout...............5000
21:58:30.308 [Test worker] INFO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MyPool - Starting...
21:58:30.321 [Test worker] DEBUG c.z.hikari.util.DriverDataSource -- Loaded driver with class name org.h2.Driver for jdbc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21:58:30.429 [Test worker] INFO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Added connection conn0: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21:58:30.431 [Test worker] INFO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MyPool - Start completed.
21:58:30.441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Added connection conn1: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커넥션 풀에서 커넥션 획득
21:58:30.441 [Test worker] INFO  h.jdbc.connection.ConnectionTest -- connection=HikariProxyConnection@181078353 wrapping conn0: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class com.zaxxer.hikari.pool.HikariProxyConnection

#커넥션 풀에서 커넥션 획득
21:58:30.444 [Test worker] INFO  h.jdbc.connection.ConnectionTest -- connection=HikariProxyConnection@198098993 wrapping conn1: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class com.zaxxer.hikari.pool.HikariProxyConnection

21:58:30.484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Connection not added, stats (total=2, active=2, idle=0, waiting=0)
21:58:30.547 [MyPool housekeep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Pool stats (total=2, active=2, idle=0, waiting=0)

#커넥션 풀 전용 쓰레드가 커넥션 풀에 커넥션을 10개 채움
21:58:30.552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Added connection conn2: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21:58:30.594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After adding stats (total=3, active=2, idle=1, waiting=0)
21:58:30.599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Added connection conn3: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21:58:30.640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After adding stats (total=4, active=2, idle=2, waiting=0)
21:58:30.644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Added connection conn4: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21:58:30.688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After adding stats (total=5, active=2, idle=3, waiting=0)
21:58:30.692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Added connection conn5: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21:58:30.735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After adding stats (total=6, active=2, idle=4, waiting=0)
21:58:30.741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Added connection conn6: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21:58:30.782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After adding stats (total=7, active=2, idle=5, waiting=0)
21:58:30.790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Added connection conn7: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21:58:30.829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After adding stats (total=8, active=2, idle=6, waiting=0)
21:58:30.835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Added connection conn8: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21:58:30.876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After adding stats (total=9, active=2, idle=7, waiting=0)
21:58:30.880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Added connection conn9: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21:58:30.923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After adding stats (total=10, active=2, idle=8, waiting=0)
21:58:30.923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Connection not added, stats (total=10, active=2, idle=8, waiting=0)
21:58:30.923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Connection not added, stats (total=10, active=2, idle=8, waiting=0)

실행 결과를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HikariConfig
HikariCP 관련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풀의 이름( MyPool )과 최대 풀 수( 10 )을 확인할 수 있다.

MyPool connection adder

별도의 쓰레드 사용해서 커넥션 풀에 커넥션을 채우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쓰레드는 커넥션 풀에 커넥션을 최대 풀 수( 10 )까지 채운다. (로그 마지막 줄을 보면 된다.)

그렇다면 왜 별도의 쓰레드를 사용해서 커넥션 풀에 커넥션을 채우는 것일까?
커넥션 풀에 커넥션을 채우는 것은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는 일이다.(외부와 TCP/IP 통신 이루어지기 떄문이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커넥션 풀을 채울 때까지 마냥 대기하고 있다면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간이 늦어진다.
따라서 이렇게 별도의 쓰레드를 사용해서 커넥션 풀을 채 워야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커넥션 풀에서 커넥션 획득
커넥션 풀에서 커넥션을 획득하고 그 결과를 출력했다.

#커넥션 풀에서 커넥션 획득
21:58:30.441 [Test worker] INFO  h.jdbc.connection.ConnectionTest -- connection=HikariProxyConnection@181078353 wrapping conn0: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class com.zaxxer.hikari.pool.HikariProxyConnection

#커넥션 풀에서 커넥션 획득
21:58:30.444 [Test worker] INFO  h.jdbc.connection.ConnectionTest -- connection=HikariProxyConnection@198098993 wrapping conn1: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class com.zaxxer.hikari.pool.HikariProxyConnection

여기서는 커넥션 풀에서 커넥션을 2개 획득하고 반환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풀에 있는 10개의 커넥션 중에 2개를 가지고 있는 상태이다.
그래서 마지막 로그를 보면 사용중인 커넥션 active=2 , 풀에서 대기 상태인 커넥션 idle=8 을 확인할 수 있다.
MyPool - After adding stats (total=10, active=2, idle=8, waiting=0)

만약 풀에 커넥션이 차기 전에 커넥션을 얻으면 어떻게 될까?
내부적으로 커넥션이 찰 때까지 기다렸다가 획득한다.

만약에 10개로 설정했는데, 10개를 넘기면 어떻게 될까?

private void userDataSource(DataSource dataSource) throws SQLException {  
    Connection con1 = dataSource.getConnection();  
    Connection con2 = dataSource.getConnection();  
    Connection con3 = dataSource.getConnection();  
    Connection con4 = dataSource.getConnection();  
    Connection con5 = dataSource.getConnection();  
    Connection con6 = dataSource.getConnection();  
    Connection con7 = dataSource.getConnection();  
    Connection con8 = dataSource.getConnection();  
    Connection con9 = dataSource.getConnection();  
    Connection con10 = dataSource.getConnection();  
    Connection con11 = dataSource.getConnection();  
    log.info("connection={}, class={}", con1, con1.getClass());  
    log.info("connection={}, class={}", con2, con2.getClass());  
}

이렇게 해놓고, 테스트를 실행해보자.

테스트가 수행되다가 멈춰버린다.
그리고 예외를 발생한다.

로그는 다음과 같다.

22:38:29.443 [MyPool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Connection not added, stats (total=10, active=10, idle=0, waiting=1)
22:38:59.141 [MyPool housekeep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Pool stats (total=10, active=10, idle=0, waiting=1)
22:38:59.141 [MyPool housekeep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Fill pool skipped, pool has sufficient level or currently being filled.
22:38:59.406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MyPool - Timeout failure stats (total=10, active=10, idle=0, waiting=0)

# 30초!!!!
java.sql.SQLTransientConnectionException: MyPool - Connection is not available, request timed out after 30005ms (total=10, active=10, idle=0, waiting=0)
    at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createTimeoutException(HikariPool.java:686)
    at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getConnection(HikariPool.java:179)
    at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getConnection(HikariPool.java:144)
    at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getConnection(HikariDataSource.java:127)
    at hello.jdbc.connection.ConnectionTest.userDataSource(ConnectionTest.java:51)
    at hello.jdbc.connection.ConnectionTest.dataSourceDriverManager(ConnectionTest.java:36)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80)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96)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96)

로그를 보면 30초 정도 기다렸다고 나온다.

참고

HikariCP 커넥션 풀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공식 사이트를 참고하면 된다..

2-5. DataSource 적용

이번에는 애플리케이션에 DataSource 를 적용해보자.

기존 코드를 유지하기 위해 기존 코드를 복사해서 새로 만들자.

  • MemberRepositoryV0 -> MemberRepositoryV1
  • MemberRepositoryV0Test -> MemberRepositoryV1Test

MemberRepositoryV1

import hello.jdbc.domain.Member;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jdbc.support.JdbcUtils;  

import javax.sql.DataSource;  
import java.sql.*;  
import java.util.NoSuchElementException;  

/**  
 * JDBC - DataSource 사용, JdbcUtils 사용  
 */  
@Slf4j  
public class MemberRepositoryV1 {  

    private final DataSource dataSource;  

    public MemberRepositoryV1(DataSource dataSource) {  
        this.dataSource = dataSource;  
    }

    ...
    ...


    private void close(Connection con, Statement stmt, ResultSet rs) {  
        JdbcUtils.closeResultSet(rs);  
        JdbcUtils.closeStatement(stmt);  
        JdbcUtils.closeConnection(con);  
    }  

    private Connection getConnection() throws SQLException {  
        Connection con = dataSource.getConnection();  
        log.info("get connection = {}, class = {}", con, con.getClass());
        return con;  
    }  
}
  • DataSource 의존관계 주입
    • 외부에서 DataSource 를 주입 받아서 사용한다. 이제 직접 만든 DBConnectionUtil 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 DataSource 는 표준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DriverManagerDataSource 에서 HikariDataSource 로 변경되어도 해당 코드를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 JdbcUtils 편의 메서드
    • 스프링은 JDBC를 편리하게 다룰 수 있는 JdbcUtils 라는 편의 메서드를 제공한다.
    • JdbcUtils 을 사용하면 커넥션을 좀 더 편리하게 닫을 수 있다.

MemberRepositoryV1Test 클래스를 다음과 같이 작성하자.

package hello.jdbc.repository;  

import hello.jdbc.connection.ConnectionConst;  
import hello.jdbc.domain.Member;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junit.jupiter.api.BeforeEach;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jdbc.datasource.DriverManagerDataSource;  

import java.sql.SQLException;  
import java.util.NoSuchElementException;  

import static hello.jdbc.connection.ConnectionConst.*;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ThrownBy;  

@Slf4j  
class MemberRepositoryV1Test {  

    MemberRepositoryV1 repository;  

    @BeforeEach  
    void beforeEach() {  
        // 기본 DriverManager - 항상 새로운 커넥션을 획득  
        DriverManagerDataSource dataSource = new DriverManagerDataSource(URL, USERNAME, PASSWORD);  
        repository = new MemberRepositoryV1(dataSource);  
    }  

    @Test  
    void crud() throws SQLException {  
        // save  
        Member member = new Member("memberV0", 10000);  
        repository.save(member);  

        //findById  
        Member findMember = repository.findById(member.getMemberId());  
        log.info("findMember={}", findMember);  
        assertThat(findMember).isEqualTo(member);  

        //update: mondy 10000 -> 20000  
        repository.update(member.getMemberId(), 20000);  
        Member updateMember = repository.findById(member.getMemberId());  
        assertThat(updateMember.getMoney()).isEqualTo(20000);  

        //delete  
        repository.delete(member.getMemberId());  
        assertThatThrownBy(() -> repository.findById(member.getMemberId()))  
                .isInstanceOf(NoSuchElementException.class);  
    }  

}

테스트를 실행하면 로그가 다음과 같다.

22:52:12.386 [Test worker] DEBUG o.s.j.d.DriverManagerDataSource -- Creating new JDBC DriverManager Connection to [jdbc:h2:tcp://localhost/~/jdbctest]
22:52:12.486 [Test worker] INFO  h.jdbc.repository.MemberRepositoryV1 -- get connection = conn0: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 = class org.h2.jdbc.JdbcConnection
22:52:12.502 [Test worker] DEBUG o.s.j.d.DriverManagerDataSource -- Creating new JDBC DriverManager Connection to [jdbc:h2:tcp://localhost/~/jdbctest]
22:52:12.507 [Test worker] INFO  h.jdbc.repository.MemberRepositoryV1 -- get connection = conn1: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 = class org.h2.jdbc.JdbcConnection
22:52:12.513 [Test worker] INFO  h.j.r.MemberRepositoryV1Test -- findMember=Member(memberId=memberV0, money=10000)
22:52:12.579 [Test worker] DEBUG o.s.j.d.DriverManagerDataSource -- Creating new JDBC DriverManager Connection to [jdbc:h2:tcp://localhost/~/jdbctest]
22:52:12.582 [Test worker] INFO  h.jdbc.repository.MemberRepositoryV1 -- get connection = conn2: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 = class org.h2.jdbc.JdbcConnection
22:52:12.583 [Test worker] INFO  h.jdbc.repository.MemberRepositoryV1 -- resultSize=1
22:52:12.584 [Test worker] DEBUG o.s.j.d.DriverManagerDataSource -- Creating new JDBC DriverManager Connection to [jdbc:h2:tcp://localhost/~/jdbctest]
22:52:12.588 [Test worker] INFO  h.jdbc.repository.MemberRepositoryV1 -- get connection = conn3: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 = class org.h2.jdbc.JdbcConnection
22:52:12.593 [Test worker] DEBUG o.s.j.d.DriverManagerDataSource -- Creating new JDBC DriverManager Connection to [jdbc:h2:tcp://localhost/~/jdbctest]
22:52:12.597 [Test worker] INFO  h.jdbc.repository.MemberRepositoryV1 -- get connection = conn4: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 = class org.h2.jdbc.JdbcConnection
22:52:12.600 [Test worker] DEBUG o.s.j.d.DriverManagerDataSource -- Creating new JDBC DriverManager Connection to [jdbc:h2:tcp://localhost/~/jdbctest]
22:52:12.603 [Test worker] INFO  h.jdbc.repository.MemberRepositoryV1 -- get connection = conn5: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 = class org.h2.jdbc.JdbcConnection

현재 DriverManagerDataSource를 사용하니 커넥션을 계속 맺어주고 있다.
이렇게 하면 성능이 느릴 수 밖에 없다.
이제 커넥션 풀을 쓰도록 수정해보자.

    @BeforeEach  
    void beforeEach() {  
        // 기본 DriverManager - 항상 새로운 커넥션을 획득  
//        DriverManagerDataSource dataSource = new DriverManagerDataSource(URL, USERNAME, PASSWORD);  

        //커넥션 풀링  
        HikariDataSource dataSource = new HikariDataSource();  
        dataSource.setJdbcUrl(URL);  
        dataSource.setUsername(USERNAME);  
        dataSource.setPassword(PASSWORD);  
        repository = new MemberRepositoryV1(dataSource);  
    }
  • MemberRepositoryV1DataSource 의존관계 주입이 필요하다

DriverManagerDataSource 를 사용한 결과 로그를 보자.

22:56:41.497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HikariPool-1 - configuration:
22:56:41.514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allowPoolSuspension.............false
22:56:41.514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autoCommit......................true
22:56:41.515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catalog.........................none
22:56:41.515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connectionInitSql...............none
22:56:41.516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connectionTestQuery.............none
22:56:41.517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connectionTimeout...............30000
22:56:41.518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dataSource......................none
22:56:41.518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dataSourceClassName.............none
22:56:41.518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dataSourceJNDI..................none
22:56:41.519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dataSourceProperties............{password=<masked>}
22:56:41.520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driverClassName.................none
22:56:41.520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exceptionOverrideClassName......none
22:56:41.520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healthCheckProperties...........{}
22:56:41.520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healthCheckRegistry.............none
22:56:41.521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idleTimeout.....................600000
22:56:41.521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initializationFailTimeout.......1
22:56:41.521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isolateInternalQueries..........false
22:56:41.521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jdbc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22:56:41.522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keepaliveTime...................0
22:56:41.523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leakDetectionThreshold..........0
22:56:41.523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maxLifetime.....................1800000
22:56:41.523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maximumPoolSize.................10
22:56:41.523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metricRegistry..................none
22:56:41.523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metricsTrackerFactory...........none
22:56:41.523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minimumIdle.....................10
22:56:41.525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password........................<masked>
22:56:41.525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poolName........................"HikariPool-1"
22:56:41.525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readOnly........................false
22:56:41.525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registerMbeans..................false
22:56:41.526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scheduledExecutor...............none
22:56:41.526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schema..........................none
22:56:41.526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threadFactory...................internal
22:56:41.527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transactionIsolation............default
22:56:41.527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username........................"sa"
22:56:41.527 [Test worker] DEBUG com.zaxxer.hikari.HikariConfig -- validationTimeout...............5000
22:56:41.528 [Test worker] INFO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ing...
22:56:41.542 [Test worker] DEBUG c.z.hikari.util.DriverDataSource -- Loaded driver with class name org.h2.Driver for jdbc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22:56:41.667 [Test worker] INFO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HikariPool-1 - Added connection conn0: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22:56:41.670 [Test worker] INFO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 - Start completed.
22:56:41.675 [Test worker] INFO  h.jdbc.repository.MemberRepositoryV1 -- get connection = HikariProxyConnection@1662912171 wrapping conn0: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 = class com.zaxxer.hikari.pool.HikariProxyConnection
22:56:41.707 [Test worker] INFO  h.jdbc.repository.MemberRepositoryV1 -- get connection = HikariProxyConnection@1396385390 wrapping conn0: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 = class com.zaxxer.hikari.pool.HikariProxyConnection
22:56:41.713 [Test worker] INFO  h.j.r.MemberRepositoryV1Test -- findMember=Member(memberId=memberV0, money=10000)
22:56:41.777 [HikariPool-1 housekeep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HikariPool-1 - Pool stats (total=1, active=0, idle=1, waiting=0)
22:56:41.783 [HikariPool-1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HikariPool-1 - Added connection conn1: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22:56:41.813 [Test worker] INFO  h.jdbc.repository.MemberRepositoryV1 -- get connection = HikariProxyConnection@167013780 wrapping conn0: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 = class com.zaxxer.hikari.pool.HikariProxyConnection
22:56:41.815 [Test worker] INFO  h.jdbc.repository.MemberRepositoryV1 -- resultSize=1
22:56:41.815 [Test worker] INFO  h.jdbc.repository.MemberRepositoryV1 -- get connection = HikariProxyConnection@416049054 wrapping conn0: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 = class com.zaxxer.hikari.pool.HikariProxyConnection
22:56:41.818 [Test worker] INFO  h.jdbc.repository.MemberRepositoryV1 -- get connection = HikariProxyConnection@1095947149 wrapping conn0: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 = class com.zaxxer.hikari.pool.HikariProxyConnection
22:56:41.822 [Test worker] INFO  h.jdbc.repository.MemberRepositoryV1 -- get connection = HikariProxyConnection@405741210 wrapping conn0: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class = class com.zaxxer.hikari.pool.HikariProxyConnection
22:56:41.822 [HikariPool-1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HikariPool-1 - After adding stats (total=2, active=1, idle=1, waiting=0)
22:56:41.829 [HikariPool-1 connection adder] DEBUG com.zaxxer.hikari.pool.HikariPool -- HikariPool-1 - Added connection conn2: url=jdbc:h2:tcp://localhost/~/jdbctest user=SA

DriverManagerDataSource 를 사용하면 conn0~5 번호를 통해서 항상 새로운 커넥션이 생성되어서 사용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로그에서 보면, 다음과 같이 get Connection 시에 conn0이 계속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conn0(커넥션)이 재사용 된 것이다.

  • 커넥션 풀 사용시 conn0 커넥션이 재사용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테스트는 순서대로 실행되기 때문에 커넥션을 사용하고 다시 돌려주는 것을 반복한다. 따라서 conn0 만 사용된다.
  • 웹 애플리케이션에 동시에 여러 요청이 들어오면 여러 쓰레드에서 커넥션 풀의 커넥션을 다양하게 가져가는 상황 을 확인할 수 있다.

save -> find -> update -> delete 순으로 메서드를 호출하는데,
이때 각각의 메서드마다 다음과 같이 close() 를 구현했다.

private void close(Connection con, Statement stmt, ResultSet rs) {  
    JdbcUtils.closeResultSet(rs);  
    JdbcUtils.closeStatement(stmt);  
    JdbcUtils.closeConnection(con);  
}

커넥션 풀을 사용하기 전에는 커넥션을 끊었지만,
커넥션 풀을 이용하게 되면, 커넥션을 닫는 것이 아니라, 커넥션 풀로 커넥션을 반환한다.
그래서 반환하고 사용하고, 반환하고 사용하다보니 똑같은 커넥션인 conn0으로 디비와의 통신을 하는 것이다.

또한 히카리의 인스턴스 주소가 다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히카리 프록시 커넥션에 객체를 생성하고, 실제 커넥션을 랩핑하여 반환을 하게된다.
그래서 객체 인스턴스 주소도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내부적인 커넥션은 같은 커넥션이다.

그리고 close()를 호출하면 히카리 프록시 객체는 생명주기가 끝나고, 커넥션은 그대로 반환된다.

DI

DriverManagerDataSource애서 HikariDataSource 로 변경해도 MemberRepositoryV1 의 코드는 전혀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MemberRepositoryV1DataSource 인터페이스에만 의존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DataSource 를 사용하는 장점이다.(DI + OCP)

3. 요약

각 RDBMS마다 서로 다르게 구현하여 JDBC 커넥션을 구현하던 것을 추상화한 DataSource에 대해서 알아봤고,
DataSource 덕에 JDBC를 각 RDBMS에 맞게 구현되던 것이 추상화로 인해 DataSource만 의존받아도 충분해지도록 과정이 수월해졌다.
또한 DataSource는 커넥션을 만들고 하는 과정이 아니라, 커넥션 풀에 커넥션들을 생성해놓고, 필요할 때 사용하게 함으로써 커넥션을 생성하고 연결하고 끊어주는 동작이 생략되었다.

또한 DataSource가 스프링이 데이터베이스와 통신을 위해 어떻게 동작하고, 무엇을 제공하는지 알아봤다.

728x9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