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filewriter filereader
- Collection
- Thread
- 시작하세요 도커 & 쿠버네티스
- container
- 도커 엔진
- 리스트
- 실전 자바 고급 1편
- Java IO
- 김영한
- java
- Kubernetes
- java network
- 멀티 쓰레드
- 컨테이너
- 알고리즘
- 도커
- 자바 입출력 스트림
- 인프런
- LIST
- 스레드 제어와 생명 주기
- 자료구조
- 쓰레드
- 쿠버네티스
- 자바
- java socket
- Docker
- 자바 io 보조스트림
- 동시성
- 스레드
- Today
- Total
쌩로그
깃허브 issue 템플릿 작성 본문
나는 진짜 ㄹㅇ 조만간 잘 될 사람이다.
어차피 잘 될 것이고, 지금도 어떻게든 잘 되고 있다..
여튼간에 나는 어잘될사다.
목차
- 포스팅 개요
- github Issues 템플릿 작성 과정
2-1. 템플릿 작성
2-2. 이제 Issue를 등록해보자
2-3. 마크다운 팁(체크박스)
2-4. Issue등록을 칸반보드로 하기(내용추가) - 요약
- 끝
1. 포스팅 개요
깃허브 Issues 템플릿 작성에 관한 과정 포스팅이다.
깃 허브 레포의 Project의 칸반보드를 이용하기 위한 테스팅 중, 템플릿을 재사용하는 걸 알았는데, 이번에 알게 되어서 그에 대한 과정을 하는 포스팅이다.
이슈 등록과 더불어서 프로젝트 칸반에 올라간다는 것도 덤으로 알게 된 부분은
아싸
개이득~~ 덤이다.
2. github Issues 템플릿 작성 과정
2-1 . 템플릿 작성
보이지 않길레 막 찾아보고 안 나오길레 Discussion도 등록해보기도하고,
Discussion으로 하면 뭔가 나오긴 하는데 내가 원하는 건 아니었다.
아 이거 분명히 배웠는데 하다가.. issue로 설정하니깐 바로 템플릿을 생성하는 탭이 나왔다.
직관적으로 사진이 많이 나올 터이다. 그럼 시작..!!
일단 이런 템플릿을 사용할 깃허브 레포로 가서 Issues
탭에서 New Issue
를 클릭한다.

그러면 템플릿 작성 페이지가 나오는데, 왼쪽을 가리키는 꺽새
모양을 클릭하면 나오는 목록의 밑에 Create ~~
가 나온다. 그걸 클릭하자.

위의 노란 줄은 내가 만들어논 것 지금보니깐, 어차피 뭔지 다 알게 되있음 ㅋㅋㅋㅋㅋㅋㅋ;;; 여튼..
템플릿을 작성하고, 밑의 초록색에 클릭하라는 거(Add saved reply) 클릭하면 된다.

누르게 되면, 위에 만들어졌다는 메세지가 나오면서 다시 왼쪽을 가리키는 꺽새
모양을 클릭하면 만들어진 템플릿이 나온다. 이렇게 되면 템플릿은 만들어진것이다!!!

2-2. 이제 Issue를 등록해보자.
템플릿을 입맛대로 수정한다. 제목도 넣어준다.

이후엔 프로젝트와 연관된 Issue이므로 누가 담당하는지를 오른쪽의 Assignees
로 지정해준다.
(보통 자신이 만든 Issue이니 자신을 지정하거나, 같이 담당할 사람이 있으면 같이 지정한다.)

그리고 라벨도 지정할 수 있는데, 해당되는 것으로 지정하거나, 팀의 규칙에 따라서 지정하면된다.

이후엔 프로젝트를 지정한다. 지정할 때 어떤 상태에 놓을 것인가(칸반 보드의 상태)를 지정할 수 있다.
흠.... 이슈 생성 클릭 장면을 안 찍었다;;;
그리고 초록색 버튼 Submit new issue
누르면 이슈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레포의 프로젝트의 칸반 보드를 확인해보면, 등록이 되어있다!!
캡처할 때 상태 지정 안 해서 이렇게 No status
로 나온다..;;
상태를 지정했다면, 상태에 맞는 보드 영역에 있었을 것이다.

2-3. 마크다운 팁(체크박스)
그리고, 템플릿 작성시 markdown을 사용하게 될텐데 그 때 체크박스의 팁이다.
처음에 내가 3~5분 삽질하다가 정리하는것..
체크 박스는 [ ]
대괄호(중간에 띄어줘야 한다!!)를 사용하는데, 앞에 숫자를 반드시 적어줘야한다.
이런식으로 작성하고 preview를 보면,

체크박스가 이쁘게 표시된다.

단 아래와 같이 숫자를 안 붙이면, 적용이 안된다.

따라서 숫자를 기입해주자.
(숫자는 순서(list)를 나타내는 의미같다.)

2-4. Issue등록을 칸반보드로 하기(내용추가)
Issue로 칸반보드를 등록하는 것도 가능했지만, 칸반보드에서 Issue로도 가능하다..
칸반보드에서 탭 밑의 Start typing to create~~~
를 선택한다.

선택 후, Issue를 등록한다.

제목은 적었으니, 컨텐츠 내용을 기입한다.

후에 Convert to Issue
를 선택한 후, 깃허브 레포를 선택한다.

그럼 해당 버튼을 누르자마자 이슈화가 된다.

그리고 선택했던 프로젝트의 Issue
탭을 확인하면, Issue
로 등록되어있다!

3. 요약
github issue 템플릿 작성 과정을 살펴보았다.
매번 프로젝트마다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템플릿을 만들면 보다 협업에 쉬워지는 건 당연하고,
그리고 issue를 생성하고, 프로젝트를 설정하면(상태도 같이) 프로젝트 칸반 보드에 올라간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칸반보드에서도 Issue를 등록할 수 있다.
템플릿 체크박스도 어떨 때 적용이 되는지도 알아보았다..
그럼 모두들 이슈 잘 등록해서 협업이 원활해지기를 바란다...
4. 끝
-끝-
'Deploy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Actions (0) | 2023.06.30 |
---|---|
GitHub Organization 팀 멤버 권한 변경해주기 (0) | 2023.06.13 |
깃허브 레포 Public, Private으로 바꾸는 방법 (0) | 2023.06.12 |
깃허브 레포 생성 후 참여자 초대 (0) | 2023.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