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스레드 제어와 생명 주기
- Java IO
- Docker
- 쓰레드
- 컨테이너
- 쿠버네티스
- 도커 엔진
- filewriter filereader
- Collection
- Kubernetes
- 스레드
- java
- container
- 자바 io 보조스트림
- java network
- 시작하세요 도커 & 쿠버네티스
- java socket
- 알고리즘
- 인프런
- LIST
- 실전 자바 고급 1편
- Thread
- 자바 입출력 스트림
- 동시성
- 자바
- 도커
- 김영한
- 리스트
- 멀티 쓰레드
- 자료구조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5/06/30 (1)
쌩로그
레거시 코드를 마주하면서 든 생각
처음엔 싫었다..솔직히는 두려웠던 것도 있던 거 같았다.못 찾을 수도 있다는 두려움이었던 것 같다.회사에서 어떤 페이지에서 데이터가 안 나오는 이슈를 보고 원인과 관계를 파악하다보니, 코드를 읽어가는 일이 조금 많아졌다.솔직히 처음 봤을 때 서비스 메서드 코드가 약 200 줄 되었는데, 솔직히 보기 싫었다.그래도 봐야할 이유가 있기 때문에 들여다 봤다. 200줄 중간쯤 다른 메서드 호출하는데,그 메서드는 클래스가 1000줄인데, 메서드가 800줄이었다...(ㅋㅋㅋㅋ)지금도 생각하면 헛웃음이 나온다.쉼호흡을 하고 읽어가기 시작했다(물론 읽다가 포기한 적 많다....)이제 매퍼를 통해서 SQL을 호출한다.SQL을 보니 코드라인이 200이네...??쓰읍...쉽지 않았다.다행히 보다보니 SQL로 넘겨주는 값들은..
생각 정리
2025. 6. 30. 1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