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스레드
- 제네릭스
- 김영한
- 시작하세요! 도커 & 쿠버네티스
- 스레드 제어와 생명 주기
- 실전 자바 중급 2편
- java
- contatiner
- 도커 엔진
- Thread
- Docker
- Kubernetes
- 리스트
- 쿠버네티스
- container
- 쓰레드
- 자료구조
- 오케스트레이션
- Collection
- 도커
- 멀티 쓰레드
- 알고리즘
- 시작하세요 도커 & 쿠버네티스
- 자바
- 중급자바
- 동시성
- 인프런
- 컨테이너
- 실전 자바 고급 1편
- LIST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대한 (1)
쌩로그
코딩에 대한 나의 원칙 세우기 : crud 메서드 naming
어제 두 명의 개발자 친구들과 밥먹고 커피를 마시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한 친구가 회사의 과제 전형이 있어서 과제를 한 후 제출한 코드를 다른 친구가 보고 리뷰를 해주었다.그 코드를 보고 리뷰를 해주는데, 같이 있는 나도 덩달아 배울 수 있었다.일단은 어제 들은 얘기를 통해서 배우게 된 것은 다음과 같다.배드 코드 vs 계층의 오염인 상황에서는 계층의 오염이 더 나쁘다.생각해보니깐 왜인지 안 물어봤다...;;서비스 계층에서 값 검증을 했으면, 엔티티에서 값 검증을 할 필요는 굳이다.예를 들어 어떤 값을 조회할 때 클라이언트로부터 id를 받는다고 가정하자.컨트롤러 Request에 애너테이션으로 @Postive를 줄 것이다.그리고 해당 값이 양수로 검증된 후에 서비스 계층으로 올 것인데.. 이미 id가 양..
생각 정리
2025. 3. 13. 2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