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람다
- Docker
- 자료구조
- 자바 입출력 스트림
- 김영한
- container
- RDB
- 리스트
- 시작하세요 도커 & 쿠버네티스
- Kubernetes
- 함수형 인터페이스
- 동시성
- 도커 엔진
- 자바
- 도커
- 인프런
- 데이터베이스
- 컨테이너
- LIST
- java
- 실전 자바 고급 1편
- 쿠버네티스
- 쓰레드
- 스레드
- 멀티 쓰레드
- lambda
- 스트림
- Thread
- Java IO
- 알고리즘
- Today
- Total
목록Spring Project (96)
쌩로그
목록 포스팅 개요 본론 2-1. 테스트가 왜 필요할까? 2-2. 테스트를 통해 얻어야 하는 것 2-3. 테스트 코드가 엉망이라면 2-4.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지 않는다면? 2-5. 테스트 코드가 병목이 된다면? 2-6. 올바른 테스트 코드가 가져다 주는 것 요약 1. 포스팅 개요 평소 Test 코드에 대해서 좀 딥하게 배워보고 싶었다. 따라서 인프런에서 박우빈님의 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강의 섹션 1 테스트는 왜 필요할까?를 학습하며 정리한 포스팅이다. (포스팅 시간을 1초라도 줄이고자, JPA 기본편 학습을 끝으로 경어체를 생략한다.) 2. 본론 2-1. 테스트가 왜 필요할까? "테스트는 사실 귀찮다" 기능을 만들기도 바쁜데 테스트를 짜는 것은 귀찮다. 그럼에도 불구하..
포스팅 개요 포스팅 개요 본론 2-1. 기본값 타입 2-2. 임베디드 타입(복합 값 타입) 2-3. 값 타입과 불변 객체 2-4. 갑 타입의 비교 2-5. 값 타입 컬렉션 요약 1. 포스팅 개요 해당 포스팅은 인프런에서 영한님의 JPA기본 강의에서 값 타입 파트와 해당 파트에 맞는 책의 챕터를 보고 학습한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는 포스팅입니다. 2. 본론 JPA의 데이터 타입을 가장 크게 분류하면 엔티티 타입과 값 타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엔티티 타입은 @Entity로 정의하는 객체고, 값 타입은 int, Integer, String처럼 단순히 값으로 사용하는 자바 기본 타입이나 객체를 말합니다. 엔티티 타입은 식별자를 통해 지속해서 추적할 수 있지만, 값 타입은 식별자가 없고 숫자나 문자같은 속성만..
포스팅 개요 포스팅 개요 본론 2-1. 프록시 2-2. 즉시 로딩과 지연 로딩 2-3. 지연 로딩 활용 2-4. 영속성 전이:CASCADE 2-5. 고아 객체 2-6. 영속성 전이 + 고아 객체, 생명주기 요약 1. 포스팅 개요 해당 포스팅은 인프런에서 영한님의 JPA기본 강의에서 프록시와 연관관계 관리 파트와 해당 파트에 맞는 책의 챕터를 보고 학습한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는 포스팅입니다. 2. 본론 2-1. 프록시 엔티티를 조회할 때 연관된 엔티티들이 항상 사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회원 엔티티를 조회할 때 연관된 팀 앤티티는 비즈니스 로직에 따라 사용될 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Entity // 엔티티 public class Member extends Bas..
포스팅 개요 포스팅 개요 본론 2-1. 상속 관계 매핑 2-2. @MappedSuperclass 2-3. 복합 키와 식별 관계 매핑 2-4. 조인 테이블 2-5. 엔티티 하나에 여러 테이블 매핑 요약 1. 포스팅 개요 해당 포스팅은 인프런에서 영한님의 JPA기본 강의에서 고급 매핑 파트와 해당 파트에 맞는 책의 챕터를 보고 학습한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는 포스팅입니다. 2. 본론 2-1. 상속 관계 매핑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는 객체지향 언어에서 다루는 상속이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대신 슈퍼타입 서브타입 관계(Super-Type Sub-Type Relationship)이라는 모델링 기법이 상속 개념과 가장 유사합니다. ORM에서 이야기하는 상속 관계 매핑은 객체의 상속 구조와 데이터베이스의 슈퍼타입 서브타..
목록 포스팅 개요 본론 및 요약 1. 포스팅 개요 스프링 사용시 @Transactional 애너테이션을 사용하면, 두 패키지가 나오는데 제가 잘 못 쓰고 있었습니다. 그에 대한 기록을 위한 포스팅입니다. 2. 본론 및 요약 인텔리 제이에서 쉬프트를 두번 누르면, 클래스 파일을 검색할 수 있는데, 두 가지가 나옵니다. 하나는 javax.transaction 패키지의 애너테이션이고, 하나는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 애너테이션입니다. 결론적으로는 아래의 애너테이션을 사용해야 합니다. JPA를 쓰고, JPA는 javax 패키지의 클래스들이 표준이니, 당연하게도 javax 패키지의 @Transactional을 사용했는데, 개발시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commit하..
목록 포스팅 개요 본론 요약 1. 포스팅 개요 실무에서 Vue와 SpringBoot를 이용해서 파일을 업로드해야하는 상황이 있었습니다. 처음 시도해봤었는데, 적용했고, 잊지않고자 기록합니다. 정말 간단히 세팅했고, Controller로만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프로젝트 시작시에 일어나는 에러가 있긴했습니다. yml에 아무것도 추가하지 않고, 최소한으로 시도하려 했습니다만, log를 사용하기로 했는데, 로깅 레벨을 추가하지 않거나, database를 사용한다고 gradle에 추가해놓고, database 정보를 주지 않거나, 혹은 Spring Security를 추가했는데, 프론트에서 백으로 403 에러가 나는 부분이 있었지만, yml에 파일 설정을 더해줬고, Spring Security는 gradl..
포스팅 개요 포스팅 개요 본론 2-1. 다대일 2-2. 일대다 2-3. 일대일(1:1) 2-4. 다대다(N:N) 요약 1. 포스팅 개요 해당 포스팅은 인프런에서 영한님의 JPA기본 강의에서 다양한 연관관계 매핑 파트와 해당 파트에 맞는 책의 챕터를 보고 학습한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는 포스팅입니다. 강의에서는 없는 내용이 있고, 개인적으로 저를 위한 포스팅이니 참고 바랍니다..ㅎㅎ 또한 이전에 있었던 내용과 본문에서 중첩되는 부분은 간단하게 언급만 하고 넘어가는 점도 참고 바라겠습니다. 그리고, 외래 키의 위치는 다중성의 관계에서 왼쪽에 해당하는 부분에 있다고 생각하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일대다 관계라면, 일에 해당하는 곳에 외래 키가 있습니다. 다대일 관계라면, 다에 해당하는 곳에 외래 키가 ..
목록 포스팅 개요 본론 2-1. 단방향 연관관계 2-2. 연관관계 사용 2-3. 양방향 연관관계 2-4. 연관관계의 주인 2-5. 양방향 연관관계 저장 2-6. 양방향 연관관계의 주의점 요약 1. 포스팅 개요 해당 포스팅은 인프런에서 영한님의 JPA기본 강의에서 엔티티 매핑 기초 파트와 해당 파트에 맞는 책의 챕터를 보고 학습한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는 포스팅입니다. 2. 본론 먼저 객체와 RDB의 차이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객체는 참조(주소)를 사용해서 관계를 맺지만, 테이블은 외래 키를 사용해서 관계를 맺습니다. 객체의 참조와 테이블의 외래 키를 매핑하는 것이 이번 챕터의 목표입니다. 들어가기 앞서서 세 가지의 키워드를 알아놓으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방향 방향은 객체 관계에만 존재하고, ..
목록 포스팅 개요 본론 2-1. 객체와 테이블 매핑 2-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자동생성 2-3. 기본 키 매핑 2-4. 필드와 컬럼 매핑 요약 짧은 생각과 느낀 점 1. 포스팅 개요 해당 포스팅은 인프런에서 영한님의 JPA기본 강의에서 엔티티 매핑 파트와 해당 파트에 맞는 책의 챕터를 보고 학습한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는 포스팅입니다. 2. 본론 2-1. 객체와 테이블 매핑 @Entity @Entity가 붙은 클래스는 JPA가 관리하는 것으로, 엔티티라 부릅니다. 속성 name JPA에서 사용할 엔티티 이름을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클래스 이름을 사용합니다. 다른 패키지에 이름이 같은 클래스가 있다면 이름을 지정해서 충돌하지 않도록 합니다. 주의사항 기본생성자는 필수입니다. JPA는 엔티티 객체를 생성할..
목록 포스팅 개요 본론 2-1.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와 엔티티 매니저 2-2. 영속성 컨텍스트 2-3. 플러시 2-4. 병합 : merge() 요약 1. 포스팅 개요 해당 포스팅은 인프런에서 영한님의 JPA기본 강의에서 영속성 관리 파트와 해당 파트에 맞는 책의 챕터를 보고 학습한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는 포스팅입니다. 2. 본론 2-1.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와 엔티티 매니저 엔티티 매니저(Entity Manager)는 엔티티를 저장하고, 삭제하고, 수정하고, 조회하는 등 엔티티와 관련된 모든 일을 처리합니다. 이름 그대로 엔티티를 관리하는 관리자입니다.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Entity Manager Factory)는 여러 스레드가 동시에 접근해도 안전하므로 서로 다른 스레드 간에 공유해도 되지만, 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