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료구조
- 도커
- 리스트
- 자바 입출력 스트림
- 인프런
- lambda
- 컨테이너
- 동시성
- 알고리즘
- 시작하세요 도커 & 쿠버네티스
- 쓰레드
- 함수형 인터페이스
- 도커 엔진
- 자바
- 스레드
- java
- 멀티 쓰레드
- container
- java socket
- LIST
- Java IO
- Collection
- 실전 자바 고급 1편
- 람다
- Kubernetes
- Docker
- 김영한
- 쿠버네티스
- Thread
- 스트림
- Today
- Total
목록Spring Project (96)
쌩로그
목록 포스팅 개요 본론 2-1. UUID가 왜 필요한가? 2-2. UUID가 뭔데? 2-3. 코드로 살펴보기 요약 1. 포스팅 개요 해당 포스팅은 JPA 를 사용하면서 Entity 의 Id 값으로, Auto Increment가 아닌, 랜덤 문자열을 가지는 UUID로 사용하는 내용에 대한 포스팅이다. 2. 본론 2-1. UUID가 왜 필요한가? 늘 JPA를 어떤 CRUD 연습용이던가, 혹은 프로젝트를 할 때 로컬환경에서도, 배포환경에서도 MySQL의 기본 키 전략에는 Auto Increment를 적용하여, 알아서 id값이 할당받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번에 회사에서 프로젝트를 하면서 id를 Auto Increment 로만 의존하기에는 한계가 생길 것 같아 Id 깂으로 UUID의 값을 집어넣으려 한다. 예를 ..
목록 포스팅 개요 본론 2-1. Business Layer 테스트 요약 1. 포스팅 개요 인프런에서 박우빈님의 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강의 섹션 5 Spring & JPA 기반 테스트 중 Business Layer(Service 계층) 테스트 부분을 학습하며 정리한 포스팅이다. | 참고 이전 포스팅 2. 본론 2-1. Business Layer 테스트 Persistence Layer Data Access의 역할을 한다. 비즈니스 가공로직이 포함되어서는 안 된다. Data에 대한 CRUD에만 집중한 레이어이다. Business Layer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는 역할 Persistence Layer와의 상호작용(Data를 읽고 쓰는 행위)을 하는 비즈니스 로직을 전개시킨다..
목록 포스팅 개요 본론 2-1. 레이어드 아키텍처(Layerd Architecture)와 테스트 2-2. Persistence Layer 테스트 요약 1. 포스팅 개요 인프런에서 박우빈님의 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강의 섹션 5 Spring & JPA 기반 테스트 중 Persistence Layer(Repository 계층) 테스트 부분을 학습하며 정리한 포스팅이다. | 참고 이전 포스팅 참고로 JPA에 대한 개념과 스프링의 개념을 설명하신 부분이 있었지만 생략했고, 중간에 키워드는 적어두었다. 2. 본론 2-1. 레이어드 아키텍처(Layerd Architecture)와 테스트 Layered Architecture 관심사를 분리해서 책임을 나우고, 유지보수하기 용이하도록 ..
목록 포스팅 개요 본론 2-1. Entity 노출 하지 않기 2-2. 데이터 한 번 더 감싸기 2-3. 양방향 연관관계에 있는 두 Entity 외부에 노출시 한 쪽에서 연관관계 끊기 2-4. fetch 전략은 무적권 LAZY 2-5. 엔티티 조회 2-6. 프로퍼티는 Getter, Setter를 의미 2-7. Entity를 DTO로 변환해서 반환할 때 2-8. Hibernate 6 최적화 2-9. 컬렉션 페이징 경고 원인 2-10. 페이징 한계돌파 2-11. DTO로 뽑을 때는 new Operation을 사용한다. 2-12. OSIV 2-13. 내가 고쳐야되는 것 2-14. 내가 해봐야 하는 것 요약 1. 포스팅 개요 인프런에서 영한님의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 2편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목록 포스팅 개요 본론 2-1.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2-2. 서블릿 2-3. 동시 요청 - 멀티 쓰레드 2-4. HTML, HTTP API, CSR, SSR 2-5. 자바 백엔드 웹 기술 역사 요약 1. 포스팅 개요 인프런에서 영한님의 스프링 MVC 1편 Section 01 웹 애플리케이션 이해를 학습하며 정리한 포스팅이다. 2. 본론 2-1.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지금은 HTTP 시대라고 말할 정도로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대부분 HTTP 프로토콜 기반으로 동작한다. 웹 서버(Web Server) HTTP 기반으로 동작한다. 정적 리소스를 제공한다. HTML, CSS, JS, 이미지, 영상 등 NGINX 혹은 APACHE가 대표적이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 - W..
목록 포스팅 개요 본론 2-1. TDD: Test Driven Development 2-1-1. TDD: Test Driven Development 2-2. 테스트는 [ ]다. 2-2-1. 테스트는 [ ]다. 2-2-2. DisplayName을 섬세하게 2-2-3. BDD 스타일로 작성하기 요약 1. 포스팅 개요 인프런에서 박우빈님의 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강의 섹션 3,4 TDD: Test Driven Development와 테스트는 [ ]다.를 학습하며 정리한 포스팅이다. | 참고 이전 포스팅 2. 본론 2-1. TDD: Test Driven Development 2-1-1. TDD: Test Driven Development TDD 프로덕션 코드보다 테스트 코드를 ..
목록 포스팅 개요 본론 2-1. 생각 정리 2-2. 개념 정리 2-3. 이후에 어떻게 뭘 해볼지 요약 1. 포스팅 개요 인프런에서 영한님의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 1편과 책 내용을 보고 생각 정리와 개념 정리, 그리고 이후에 어떻게 뭘 해볼지에 대한 내용을 기록 한 포스팅이다. | 참고 책 내용과 강의내용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책 : 스프링 + Maven + JSP + JUnit4 강의 : 스프링 부트 2.1 + gradle + Thymeleaf + JUnit4 (번외로 나는 : 스프링 부트 3.x + gradle + Thymeleaf + JUnit5) 2. 본론 2-1. 생각 정리 먼저 여기서는 생각 정리도 생각 정리지만, 강의 중에 봤던 노하우와 팁, 그리고 내가 의문점을 가졌던 것, ..
목록 포스팅 개요 본론 2-1. 빈 스코프란? 2-2. 프로토타입 스코프 2-3. 프로토타입 스코프 - 싱글톤 빈과 함께 사용시 문제점 2-4. 프로토타입 스코프 - 싱글톤 빈과 함께 사용시 Provider로 문제 2-5. 웹 스코프 2-6. request 스코프 예제 만들기 2-7. 스코프와 Provider 2-8. 스코프와 프록시 요약 1. 포스팅 개요 인프런에서 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편 Section09 빈 스코프를 학습하며 정리한 포스팅이다. | 참고 이전 포스팅 2. 본론 2-1. 빈 스코프란? 스프링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함께 생성되어서 스프링 컨테이너가 종료될 때까지 유지된다는 것을 알아보았다. 이것은 스프링 빈이 기본적으로 싱글톤 스코프로 생성되기 때문이다. 스코프는 빈이..
목록 포스팅 개요 본론 2-1. 빈 생명주기 콜백 시작 2-2. 인터페이스 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 2-3. 빈 등록 초기화, 소멸 메서드 2-4. 애너테이션 @PostConstruct, @PreDestroy 요약 1. 포스팅 개요 인프런에서 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편 Section08 빈 생명주기 콜백을 학습하며 정리한 포스팅이다. | 참고 이전 포스팅 2. 본론 2-1. 빈 생명주기 콜백 시작 실무에서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이나, 네트워크 소켓처럼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필요한 연결을 미리 해두고,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점에 연결을 모두 종료하는 작업을 진행하려면, 객체의 초기화와 종료 작업이 필요하다. 스프링을 통해 이러한 초기화 작업과 종료 작업을 어떻게 ..
목록 포스팅 개요 본론 2-1. 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 2-2. 옵션 처리 2-3. 생성자 주입을 선택하라! 2-4. 롬복과 최신 트렌드 2-5. 조회 빈이 2개 이상 - 문제 2-6. @Autowired 필드명, @Qualifier, @Primary 2-7. 애노테이션 직접 만들기 2-8. 조회한 빈이 모두 필요할 때, List, Map 2-9. 자동, 수동의 올바른 실무 운영 기준 요약 1. 포스팅 개요 인프런에서 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편 Section07 의존관계 자동 주입을 학습하며 정리한 포스팅이다. | 참고 이전 포스팅 2. 본론 2-1. 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 의존관계 주입은 크게 4가지 방법이 있다. 생성자 주입 수정자 주입(setter 주입) 필드 주입 일반 메서드 주입 ..